이랜드리테일의 헛발질? 비상경영?…“자회사 개편 원점”
경제·산업
입력 2025-07-07 17:39:15
수정 2025-07-07 17:55:32
이혜연 기자
0개

[앵커]
이랜드그룹이 3년 전 단행했던 자회사 개편을 사실상 원점으로 되돌렸습니다. 사업 확대를 위해 물적 분할했던 이랜드리테일 산하 법인들을 오는 9월 다시 흡수하기로 했는데요.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혜연 기잡니다.
[기자]
이랜드그룹이 사업 다각화보다는 다시 ‘리테일 중심’으로 방향타를 돌린 모습입니다.
지난 2022년 물적 분할했던 이랜드킴스클럽과 이랜드글로벌을 다시 이랜드리테일에 흡수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합병은 지난달 25일 이사회에서 의결됐으며 합병기일은 오는 9월 1일입니다.
두 법인 모두 이랜드리테일이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어 신주 발행 없이 합병 절차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로써 이랜드리테일은 3년 만에 대형마트와 패션브랜드 부문의 통합을 다시 추진하면서 사실상 원점으로 되돌아가게 됐습니다.
이랜드 측은 이번 흡수합병으로 법인 간 중복 비용을 줄이고, 관리 효율을 높이는 등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랜드리테일은 그룹 내 유통 부문을 담당하는 핵심 계열사로, 패션 브랜드의 판매 전진기지 역할과 함께 오프라인 유통의 중심축이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유통업 전반의 침체와 소비 둔화로 인해 실적이 뒷걸음질 쳤습니다.
실제 이랜드리테일의 연결기준 매출은 2022년 1조6161억원에서 2023년 1조5713억원, 2024년 1조5649억원으로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669억원에서 300억원으로 줄었고, 당기순적자는 마이너스(-)875억원에서 -1679억원까지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이에 이랜드리테일은 지난 4월 비상경영 체제 돌입을 선언한 후 5월 편의점 사업을 사실상 철수하기로 하는 등 점포 폐점·매각, 신사업 철수까지 대대적으로 사업구조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다만, 유통업황이 여전히 좋지 않고 온라인 쇼핑 강화라는 구조적인 변화에 직면해 있는 만큼 이랜드리테일의 체질 개선과 수익성 회복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거란 관측도 나옵니다.
서울경제TV 이혜연입니다. /hy2e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지배력 남용’ 구글, 반독점 피고발…“韓 논의 서둘러야”
- “실적악화 여천 NCC 어쩌나”…고민 빠진 한화솔루션
- ‘정상화’ 갈길 먼 한온시스템, 한국타이어 발목 잡나
- 美 관세 폭탄에…LG전자 2분기 영업익 ‘반토막’
- ‘DL·현대·GS’ 반등, ‘대우’ 주춤…건설사 2분기 실적 희비
- 박성효 소진공 이사장, 충북지역본부 개소식 참석
- 신세계百, 7월 대규모 모피 ‘프리오더’ 행사
- SES AI, 배터리 개발 플랫폼 '분자 우주' MU-0.5 출시
- 한국공항, 대한적십자사 ‘ESG 실천기업’ 캠페인 동참
- 광동제약, 제14회 광동 암학술상 수여... 3개 부문 4명 시상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기장군장애인태권도협회, 개소식·현판식 개최
- 2오수환 순창군의원, '지방의정봉사상' 수상
- 3장수군, 고품질 사과 생산 위한 '과수원 현장행정'
- 4순창군, 간장의 항치매·혈당 개선 효과 세계에 알려
- 5임실N치즈와 영동와인의 끈끈한 '찰떡 우애'…정영철 영동군수 임실방문
- 6권기창 시장, 시민과 함께 걸어온 3년. . ."미래 100년 준비할 것"
- 7남원시, 상반기 노인복지 사업 활발…노인복지 선도모델 '우뚝'
- 8제9대 후반기 남원시의회 출범 1년, 시민 안전·지역경제 회복 집중
- 9고창군, 임시 공용터미널 7일 운영 시작...“2027년 신축 터미널 기대감 상승”
- 10고창군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에 이경신 의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