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美 PFE 규제에 공급망 재편…“탈중국 가속”
경제·산업
입력 2025-08-10 08:00:03
수정 2025-08-10 08:00:03
이채우 기자
0개
원료 조달부터 가공까지…비중국 체계 구축 주력

10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IRA 세액공제 적용을 위한 세부 기준으로 ‘실질적 지원 비용 비율(MACR)’을 도입한 이후 배터리사들은 탈중국 공급망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MACR은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PFE’ 소재가 차지하는 비중을 수치로 나타낸 지표로, 이 비중이 낮아야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배터리 소재는 2026년 PFE 소재 사용 비중이 최대 40%까지 허용되지만, 2030년 이후에는 15% 이하로 낮춰야 한다. 즉 비(非)PFE 소재 비중을 2026년 60% 이상에서 2030년 이후 85% 이상까지 확대해야 한다.
핵심 광물은 더 엄격하다. 2026~2029년까지는 PFE 소재 사용이 전면 금지되고, 2030년부터 25% 이하, 2033년 이후에는 최대 50% 이하로 완화된다.
문제는 광물 산지 다변화는 가능해도, 가공 공정이 중국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핵심광물 확보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리튬, 코발트, 망간 등 주요 원광은 호주, 칠레, DR콩고 등지에서 채굴되지만, 가공의 대부분은 중국에서 이뤄진다.
코발트는 전 세계 가공의 72%, 망간은 90%가 중국산이다. 흑연은 채굴부터 정제까지 중국이 압도적이다.
이에 따라 배터리 업계는 단순한 원료 조달을 넘어 가공·정제 단계까지 비중국 체계를 구축하는 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양극재는 호주·아르헨티나에서 리튬을 들여와 국내에서 가공하고, 음극재는 인도네시아산을 활용한다.
전해액은 미국산 또는 국내 제조 후 미국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현지화를 강화한다. 분리막은 한국산 비중이 높아 비교적 안정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전부터 IRA 대응 공급망을 준비해왔으며, PFE 요건 충족과 함께 원가 경쟁력, 수익성 개선에도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핵심광물의 소싱처를 북미 및 미국의 FTA 국가로 다변화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있다"며 "이에 따라 주요 파트너사들도 중국 외 국가와 북미에서 원자재를 공급하는 계획을 수립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국내 배터리 3사의 핵심 소재 공급사들은 ‘탈중국’ 공급망 구축을 뒷받침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에 양극재 공급하는 LG화학은 현재 테네시주 170만㎡ 부지에 약 2조원을 투자해 양극재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이는 전기차 약 60만 대에 사용되는 물량으로 미국 내 최대 규모다. 이에 한국무역보험공사는 10억 달러 보증을 제공해 장기 자금 조달을 지원한다.
삼성SDI에 전구체·양극재를 공급하는 에코프로는 인도네시아 제련소에 투자해 생산 체계를 구축 중이며, LG에너지솔루션에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하이니켈 양극재를 공급하는 엘앤에프는 2027년 양산 목표로 미국 내 LFP 양극재 공장을 준비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 역시 국내에서 유일하게 북미 IRA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음극재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다. /dlcodn122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저축은행, 'PF 5차 펀드' 조성…하반기 부실자산 1조 추가 정리
- 코오롱, 모빌리티그룹 100% 자회사 전환…“의사결정 속도”
- 의무보호예수 물량 쏟아진다…'투자주의보'
- 부실 코스닥社 접수 후 부동산 매입부터…첫 행보 '갸우뚱'
- “해외 맛집 할인·데이터 추가”…통신3사 휴가철 혜택 뭐있나
- 키오스크 앞 ‘눈치’…장애인 45%, ‘직원 주문’ 선호
- “250兆 시장 잡는다”…K-뷰티테크, 글로벌 진출 잰걸음
- 삼성·LG, TV 출하량 둔화…中 맹추격 해법은?
- 유통업계, 무더위 속 여름철 ‘칠링템’ 먹거리 주목
- “과일이 다 했다!”…식품업계, 여름철 무더위에 과일 디저트 출시 행렬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李정부 경제전략, '성장' 전면에…기업 중심으로 초혁신
- 25대은행 가계대출 1주만에 2조 증가…신용대출에 1조 몰려
- 3메타, AI 음성 스타트업 '웨이브폼스' 인수
- 4애플 주가, 주간 상승률 13%…5년만 최대
- 5美연준 보먼 "연내 3회 금리인하 해야"
- 6저축은행, 'PF 5차 펀드' 조성…하반기 부실자산 1조 추가 정리
- 7의무보호예수 물량 쏟아진다…'투자주의보'
- 8코오롱, 모빌리티그룹 100% 자회사 전환…“의사결정 속도”
- 9철강 50% 관세 폭탄에…국내 철강사 “초격차 기술력으로 돌파구”
- 10부실 코스닥社 접수 후 부동산 매입부터…첫 행보 '갸우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