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美 PFE 규제에 공급망 재편…“탈중국 가속”

경제·산업 입력 2025-08-10 08:00:03 수정 2025-08-10 08:00:03 이채우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원료 조달부터 가공까지…비중국 체계 구축 주력

LG화학 테네시 양극재 공장 건설현장 [사진=LG화학]



[서울경제TV=이채우 인턴기자]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우려 외국 기업(PFE)’ 실질적 지원 규제에 대응하며 탈중국 공급망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는 모습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IRA 세액공제 적용을 위한 세부 기준으로 ‘실질적 지원 비용 비율(MACR)’을 도입한 이후 배터리사들은 탈중국 공급망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MACR은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PFE’ 소재가 차지하는 비중을 수치로 나타낸 지표로, 이 비중이 낮아야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배터리 소재는 2026년 PFE 소재 사용 비중이 최대 40%까지 허용되지만, 2030년 이후에는 15% 이하로 낮춰야 한다. 즉 비(非)PFE 소재 비중을 2026년 60% 이상에서 2030년 이후 85% 이상까지 확대해야 한다.

핵심 광물은 더 엄격하다. 2026~2029년까지는 PFE 소재 사용이 전면 금지되고, 2030년부터 25% 이하, 2033년 이후에는 최대 50% 이하로 완화된다.

문제는 광물 산지 다변화는 가능해도, 가공 공정이 중국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핵심광물 확보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리튬, 코발트, 망간 등 주요 원광은 호주, 칠레, DR콩고 등지에서 채굴되지만, 가공의 대부분은 중국에서 이뤄진다.

코발트는 전 세계 가공의 72%, 망간은 90%가 중국산이다. 흑연은 채굴부터 정제까지 중국이 압도적이다.

이에 따라 배터리 업계는 단순한 원료 조달을 넘어 가공·정제 단계까지 비중국 체계를 구축하는 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양극재는 호주·아르헨티나에서 리튬을 들여와 국내에서 가공하고, 음극재는 인도네시아산을 활용한다.

전해액은 미국산 또는 국내 제조 후 미국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현지화를 강화한다. 분리막은 한국산 비중이 높아 비교적 안정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전부터 IRA 대응 공급망을 준비해왔으며, PFE 요건 충족과 함께 원가 경쟁력, 수익성 개선에도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핵심광물의 소싱처를 북미 및 미국의 FTA 국가로 다변화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있다"며 "이에 따라 주요 파트너사들도 중국 외 국가와 북미에서 원자재를 공급하는 계획을 수립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국내 배터리 3사의 핵심 소재 공급사들은 ‘탈중국’ 공급망 구축을 뒷받침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에 양극재 공급하는 LG화학은 현재 테네시주 170만㎡ 부지에 약 2조원을 투자해 양극재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이는 전기차 약 60만 대에 사용되는 물량으로 미국 내 최대 규모다. 이에 한국무역보험공사는 10억 달러 보증을 제공해 장기 자금 조달을 지원한다.

삼성SDI에 전구체·양극재를 공급하는 에코프로는 인도네시아 제련소에 투자해 생산 체계를 구축 중이며, LG에너지솔루션에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하이니켈 양극재를 공급하는 엘앤에프는 2027년 양산 목표로 미국 내 LFP 양극재 공장을 준비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 역시 국내에서 유일하게 북미 IRA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음극재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다. /dlcodn122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