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신경 줄기세포 운명 결정하는 ‘Wnt-Mbd3 축’ 최초 규명
전국
입력 2025-08-14 08:55:28
수정 2025-08-14 08:55:28
김정희 기자
0개
의생명공학과 문병산 교수 연구팀, 신경 전구 세포 자가증식‧분화 조절 메커니즘 밝혀
국제 저명 저널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게재… 의학 분야 상위 3.8%
뇌 질환 치료용 줄기세포 기반 기술 및 신약 개발에 폭넓게 응용 기대

이번 연구는 Wnt-Mbd3 축이 신경 전구세포의 줄기세포성 유지와 신경세포 분화를 좌우하는 핵심 경로임을 새롭게 규명한 성과로, 뇌 발달 이상과 퇴행성 뇌 질환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SCI 국제 저명 학술지인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IF: 12.9, MEDICINE, RESEARCH & EXPERIMENTAL(의학, 연구&실험) 분야 상위 3.8%)에 2025년 8월 1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제1저자는 마이티쿠인누 박사과정생이며, 문병산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연구팀은 Wnt 신호가 Mbd3 단백질의 안정성을 높이고, 안정화된 Mbd3가 NuRD 복합체와 함께 신경세포 분화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신경 전구 세포의 줄기세포성을 유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로써 그동안 별개로 여겨졌던 Wnt 신호와 Mbd3-NuRD 복합체가 실제로는 ‘Wnt-Mbd3 축(axis)’라는 경로를 통해 유기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신경세포의 운명 결정에 대한 이해를 획기적으로 진전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뇌 발달 이상은 물론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과 같은 퇴행성 뇌 질환 치료에 활용 가능한 줄기세포 기반 기술 개발에 적용될 수 있어, 파급 효과가 매우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Wnt-Mbd3 축을 인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줄기세포를 원하는 신경세포로 분화시키는 기술 개발에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 구축과 신약개발 효율 향상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영남대학교 의생명공학과 문병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오랜 기간 축적해 온 신경 줄기세포 분야 연구의 연장선에서 도출된 결과로, 뇌 발달과 퇴행성 뇌 질환 치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성과”라며 “향후 Wnt 신호와 후성유전학적 조절 기전 간 상호작용을 더 정밀하게 규명하고, 이를 노화·불임 질환 등 다양한 질병 모델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문 교수 연구팀은 본 연구에 앞서 PLoS Biology(2017), PNAS(2017), Nature Communications(2018),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2020) 등에 관련 연구 성과를 잇달아 발표하며, 줄기세포 조절 분야에서 주목을 받아오고 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숙자 남원시의원, '자랑스러운 인물대상' 지방의정 부문 대상 영예
- 심덕섭 고창군수, 고구마 수확 현장 방문…일손돕기 '구슬땀'
- 부천영상문화산업단지, 계획 반복...발목
- 기장군, 사회복지의 날 기념식…9월 1~12일 '기장 사회복지 주간' 운영
- 부산교육청, 교직원 '업무자동화 프로그램 개발대회' 참가작 심사 착수
- 남해해경청, 부산항 장기 방치 유조선 3척 폐선 조치
- 보성군, 의료·요양·돌봄 통합 시스템 구축 박차…군민 삶의 질 향상 기대
- 인천시, 청년 만남의 장 열다
- 포천시의회, 의장기 생활체육대회…350명 동호인 참가
- 남양주시, ‘그린 환경축제’ 성료…시민 참여로 녹색 실천 확산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숙자 남원시의원, '자랑스러운 인물대상' 지방의정 부문 대상 영예
- 2민병덕 의원 "홈플러스 사태 정상화에 정치권 즉각 개입해야"
- 3심덕섭 고창군수, 고구마 수확 현장 방문…일손돕기 '구슬땀'
- 4부천영상문화산업단지, 계획 반복...발목
- 5기장군, 사회복지의 날 기념식…9월 1~12일 '기장 사회복지 주간' 운영
- 6“韓 경마 자존심 지켰다”…코리아컵·스프린트 개최
- 7코스피 시총 지각변동…조·방·원이 상위권 꿰찼다
- 8'신뢰 위기' 새마을금고, 행안부 감독 한계 도마에
- 9‘섬유·석화 부진’ 태광산업…애경산업 품고 위기 돌파
- 10폐암약 ‘렉라자’, ‘타그리소’와 승부…약값이냐 내성이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