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박노근 교수 연구팀, AI 기반 고엔트로피 나노 입자 구현

전국 입력 2025-09-02 17:13:51 수정 2025-09-02 17:13:51 김정희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Coordination Chemistry Reviews(IF 24.6), Small(IF 13.3) 동시 게재
고엔트로피합금 나노입자 합성과 머신러닝 기반 물성 예측 성과
방위산업·항공우주·차세대 에너지 산업 응용 가능성 제시

박노근 교수 연구팀(왼쪽부터 신소재공학부 박노근 교수, 와일 알조비 교수). [사진=영남대]

[서울경제TV 경산=김정희 기자] 경산영남대학교(총장 최외출) 신소재공학부 박노근 교수 연구팀이 고엔트로피합금(High-Entropy Alloy, HEA)을 나노입자 차원으로 구현하고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해 물성을 예측하는 새로운 연구 프레임을 제시했다.

이번 성과를 담은 논문 2편이 국제 권위 학술지 Coordination Chemistry Reviews(Impact Factor 24.6)와 Small(Impact Factor 13.3)에 동시에 게재되며, 세계 수준의 영남대 연구 역량을 다시 입증했다. 

박 교수는 국내 최초로 HEA 분야 국제저명학술지(SCIE) 논문을 발표한 이후, 10여 년간 연구를 이어오며 100여 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특히 다수의 성과를 JCR 상위 10% 이내의 우수 학술지에 게재하는 등 세계적 연구력을 인정받아 왔다. 

최근에는 방산 항공 우주 엔진 부품 소재인 초합금(Ni 기반 초내열합금) 분야로 연구를 확대해, 나노 입자 정량 분석 체계와 AI 기반 데이터 연구 방법론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번 2편의 논문 역시 그 연장선에서 도출된 결실이다. 

연구 성과는 방위산업·항공우주·차세대 에너지 소재 등 국가 전략 산업 전반으로 확장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박노근 교수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자세로 전통 철강·자동차 부품 산업에서 쌓은 지식에 AI·기계학습 기술을 접목해 연구의 외연을 넓혔다”며, “이는 전통 금속산업의 경험을 첨단 신소재 산업으로 이어주는 징검다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AI 기반 데이터 해석과 최적 공정 설계를 통해 경북 전통 소재 산업의 재도약은 물론, 방위산업과 차세대 에너지 산업 발전에도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 교수는 학문적 성과를 산업 생태계로 확산하는 데도 힘쓰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경북테크노파크가 지정한 ‘레전드 50+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지능형 첨단소재 인력양성사업 단장을 맡아 연구·개발·실증을 지원하고 있으며, 영천·영주·경산·경주·포항·구미 등 지역 기업과 연계해 AI 기반 전문 인력 양성과 학생 취업, 지역 정주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김정희 기자

95518050@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