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배송기사 원하는데…‘새벽배송’ 금지 논란
경제·산업
입력 2025-11-04 18:06:33
수정 2025-11-04 18:06:33
이혜연 기자
0개
[앵커]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의 핵심 경쟁력으로 자리 잡은 ‘새벽배송’이 뜨거운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최근 민주노총이 노동자의 건강 문제를 이유로 ‘심야 배송 제한’을 주장하고 있는데요. 배송업계와 소비자단체는 현실과 동떨어진 얘기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혜연 기잡니다.
[기자]
심야배송을 제한하는 ‘초심야배송 금지안’ 논쟁이 산업계와 소비자, 그리고 노동계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은 지난달 22일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출범한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 회의에서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배송을 전면 제한하자고 공식 제안했습니다.
밤 12시 이전과 오전 5시 이후 배송은 허용하되, 초심야 노동을 금지하자는 겁니다.
근거는 건강과 안전상의 문제.
민주노총은 국제암연구소가 야간노동을 ‘2급 발암 요인’으로 분류하고 있다는 점과 택배기사의 야간 재해 비율이 2019년 10.1%에서 지난해 19.6%로 급증했다는 점 등을 꼽았습니다.
그러나 정작 배송업 당사자인 쿠팡노동조합 등은 반발하고 있습니다.
쿠팡노조는 입장문을 통해 “새벽배송은 이제 국민 삶에 없어서는 안 되는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며 “단순히 야간근로를 줄이자는 주장만으로 새벽배송을 금지하자는 것은 택배 산업의 근간을 흔드는 처사”라고 반박했습니다.
쿠팡 위탁 택배기사 1만명이 소속된 쿠팡파트너스연합회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3%가 심야배송 금지에 반대했습니다.
심야배송은 교통 혼잡이 적고, 수입이 높으며, 낮 시간대 개인 일정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이유로 꼽힙니다.
현실적으로 새벽배송은 맞벌이 부부와 1인 가구 등 약 2000만명이 이용하는 생활 필수 서비스로, 전면 금지 시 소비자 불편이 예상되는 상황.
더 나아가 산업 붕괴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특히 쿠팡, 마켓컬리 등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 기업들은 새벽배송이 핵심 경쟁력인 만큼, 심야배송 제한안이 시행된다면 물류 시스템 전반이 흔들릴 수도 있습니다.
새벽배송 금지 논의가 단순한 노동시간 조정이 아닌 산업 생태계 전반의 균형 문제로도 번질 수 있는 만큼 신중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서울경제TV 이혜연입니다. /hy2e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주시, 해오름동맹 43개 공동사업 점검…대형 국비사업 속도 낸다
- 2수성구, 국토교통부 주관 ‘2025년 스마트도시 재인증’ 획득
- 3수성문화재단, 마츠오카 미츠루 팬들과 ‘글로벌 한방스쿨 특별 강연회’ 개최
- 4수성구 상동 희망나눔위원회, ‘사랑의 김장 나눔’ 행사 진행
- 5수성구청 - 태재대학교, 글로벌 미래 인재 양성과 지역 교육 발전 위한 업무 협약
- 6대한민국 문화도시 수성, ‘메이드 인 수성, 창작의 공간 in 대구아트웨이’ 참가자 모집
- 7수성구, 해외 우호도시 일본 이즈미사노시 시장단 방문
- 8영덕군의회 김성호 의장, 국민건강보험공단 영덕울진지사 ‘일일명예지사장’ 위촉
- 9대구경북지방병무청, 2026년 3월 입영 각 군 현역병 모집 접수
- 10대구대, 고교생 대상 '미래내일 일경험 연계 프로그램' 운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