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업계 ‘시름’…관세·中경쟁·탄소감축 ‘삼중고’
경제·산업
입력 2025-11-12 17:09:09
수정 2025-11-12 18:35:11
이채우 기자
0개
[앵커]
국내 자동차 업계가 전례 없는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미국의 관세 장벽에 중국 업체들의 거센 추격, 여기에 탄소중립 압박까지.
자동차업계가 삼중고에 시달리며, 시름이 깊어지는 분위깁니다. 이채우 기잡니다.
[기자]
국내 자동차업계 전반에 불안감이 번지고 있습니다.
수출길은 막히고, 중국은 치고 올라올라오는데, 환경규제까지 숨통을 조이고 있는 상황.
정부는 지난 11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2035년까지 국가 탄소 배출량을 2018년 대비 최소 53%, 최대 61%까지 줄이겠다는 내용을 담은 ‘2035 NDC(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심의·의결했습니다.
수송 부문의 경우엔 2018년 대비 탄소 배출량을 최소 60.2% 줄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김성환 기후부 장관은 “2035년 신차 판매의 70%를 전기·수소차로 전환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업계에선 사실상 내연기관차 퇴출을 의미한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는 입장문을 내고 “정부는 향후 이행 과정에서 산업계 충격을 최소화하고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규제 일변도의 정책이 아닌 과감한 수요창출 정책으로 목표 달성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여기에 한미 관세·안보 협상 결과를 담은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 발표가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업계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관세협상 세부 합의에도 여전히 25% 고율 관세를 부담하고 있는 상황.
관세 인하 적용 시점이 한국에 불리하게 설정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조심스럽게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중국의 무서운 추격도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등 미래차 핵심 분야에서 중국이 빠르게 치고 올라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배터리 핵심 소재인 희토류의 80%를 중국이 쥐고 있어, 우리 부품업계는 원자재 수급부터 발목이 잡혔습니다.
정부의 전기·수소차 보급 목표에 미국과의 관세협상 발표 지연, 중국의 공세까지.
국내 자동차업계가 그 어느 때보다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채우입니다. /dlcodn1226@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입 안이 건조해 불편할 땐 인공타액 ‘드라이메디겔’
- 일동생활건강, 유튜버 ‘비타민신지니’ 콜라보 신제품 ‘지큐랩’ 2종 출시
- 정용진, G마켓 살릴까…신세계·알리바바 JV 의장 선임
- 슬림폰 전쟁 ‘옛말’…삼성·애플, 소비자 외면에 ‘전략 변경’
- ‘취임 1년’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수익구조 과제”
- LG엔솔, 우주용 배터리 개발 참여…“사업 다각화”
- 넥슨, 3분기 실적 역성장…4분기 반등 시험대
- 크래프톤, ‘자발적 퇴사선택 프로그램’ 공지
- 셀트리온 소액주주 집단행동…“주가 횡보 책임져라”
- 뷰노, 3분기 흑자 전환 달성…“심정지 예측 AI '딥카스' 매출 성장”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입 안이 건조해 불편할 땐 인공타액 ‘드라이메디겔’
- 2일동생활건강, 유튜버 ‘비타민신지니’ 콜라보 신제품 ‘지큐랩’ 2종 출시
- 3고려대의료원, ‘ESG 지속가능경영보고서’ 3년 연속 발간
- 4세브란스병원, NCSI 국가고객만족도 조사 15년 연속 1위
- 5"강진을 혁신하자" 김보미·노두섭 의원 북콘서트 성황
- 6돌연사 키우는 조용한 병…'비후성 심근병증' 아세요?
- 7김한종 장성군수 "정부 예산 확보에 사활"
- 8마곡 차병원 난임센터 오픈…아시아 최대 규모 AI 특화센터
- 9정용진, G마켓 살릴까…신세계·알리바바 JV 의장 선임
- 10슬림폰 전쟁 ‘옛말’…삼성·애플, 소비자 외면에 ‘전략 변경’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