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업계 ‘시름’…관세·中경쟁·탄소감축 ‘삼중고’

경제·산업 입력 2025-11-12 17:09:09 수정 2025-11-12 18:35:11 이채우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국내 자동차 업계가 전례 없는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미국의 관세 장벽에 중국 업체들의 거센 추격, 여기에 탄소중립 압박까지.
자동차업계가 삼중고에 시달리며, 시름이 깊어지는 분위깁니다. 이채우 기잡니다.

[기자]
국내 자동차업계 전반에 불안감이 번지고 있습니다.
수출길은 막히고, 중국은 치고 올라올라오는데, 환경규제까지 숨통을 조이고 있는 상황.

정부는 지난 11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2035년까지 국가 탄소 배출량을 2018년 대비 최소 53%, 최대 61%까지 줄이겠다는 내용을 담은 ‘2035 NDC(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심의·의결했습니다.

수송 부문의 경우엔 2018년 대비 탄소 배출량을 최소 60.2% 줄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김성환 기후부 장관은 “2035년 신차 판매의 70%를 전기·수소차로 전환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업계에선 사실상 내연기관차 퇴출을 의미한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는 입장문을 내고 “정부는 향후 이행 과정에서 산업계 충격을 최소화하고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규제 일변도의 정책이 아닌 과감한 수요창출 정책으로 목표 달성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여기에 한미 관세·안보 협상 결과를 담은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 발표가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업계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관세협상 세부 합의에도 여전히 25% 고율 관세를 부담하고 있는 상황.
관세 인하 적용 시점이 한국에 불리하게 설정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조심스럽게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중국의 무서운 추격도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등 미래차 핵심 분야에서 중국이 빠르게 치고 올라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배터리 핵심 소재인 희토류의 80%를 중국이 쥐고 있어, 우리 부품업계는 원자재 수급부터 발목이 잡혔습니다.

정부의 전기·수소차 보급 목표에 미국과의 관세협상 발표 지연, 중국의 공세까지.
국내 자동차업계가 그 어느 때보다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채우입니다. /dlcodn1226@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