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 HLB사이언스와 합병 최종 승인…'통합 HLB' 출범 확정
경제·산업
입력 2025-11-13 14:48:11
수정 2025-11-13 14:48:11
김민영 기자
0개
연구개발 체계 일원화
신약개발 경쟁력 강화
[서울경제TV=김민영 인턴기자] HLB사이언스는 서울 송파구 본사에서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HLB와의 합병 승인의 건이 최종 가결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합병안 승인에 따라 연구개발과 경영 체계를 하나로 통합한 ‘통합 HLB’는 오는 12월 31일 공식 출범한다.
이날 주주총회에는 전체 보통주 발행주식의 71.40%가 참석했으며, 참석주주 찬성률 99% 수준으로 통과됐다.
앞서 HLB는 소규모 합병을 위한 이사회를 개최해 합병을 결정했다. 이번 합병은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대금의 상한선 등 해지 조건이 설정되지 않아, 합병 절차는 예정된 일정대로 마무리된다.
HLB와 HLB사이언스의 합병 비율은 1대 0.0446318이다. 이번 합병에 따라 존속법인은 HLB가 되며 HLB사이언스는 해산한다.
합병에 따른 신주는 79만6312주로 HLB 전체 발행주식 수의 0.6%에 해당한다. 이번 합병으로 양사의 신약개발 역량과 연구 인프라가 통합되면서 연구개발 효율성이 대폭 높아졌다.
통합 HLB는 항암제 임상개발 역량과 펩타이드 기반 초기 후보물질 발굴 능력을 결합해 탐색에서 상업화까지 이어지는 신약개발 전 과정의 경쟁력을 강화했다.
또한 항암제 중심의 파이프라인을 패혈증, 대사질환, 면역질환 영역으로 확장하면서 연구개발의 범위와 수준을 모두 끌어올리게 됐다.
특히 현재 개발 중인 패혈증 및 그람음성 슈퍼박테리아 감염증 치료제 ‘DD-S025P’의 임상 개발도 탄력을 받게 됐다.
회사는 연내 미국 식품의약국에 차기 임상시험계획을 제출할 계획이다.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기술이전 전략도 본격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이번 합병을 통해 조직과 기능의 중복이 해소되면서 비용 구조가 효율화되고, 연구개발·경영·운영 전반에서 프로세스가 일원화되며 경영 효율성도 크게 개선됐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재무 건전성과 현금흐름 안정성 강화로 이어져 수익성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궁극적으로는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 제고에도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백윤기 HLB 대표이사는 “이번 합병은 HLB 그룹의 연구개발 체계를 전략적으로 재편하고 역량을 고도화함으로써 신약개발 경쟁력을 근본적으로 강화하는 전환점”이라며 “통합 HLB는 한층 정교해진 기술력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연구개발·임상·사업화 전 과정을 완성해 신약개발의 성과를 가시화하겠다”고 말했다. /melissa6888@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日 가수 모에나, 서울서 두 번째 팬미팅 ‘Re:Connect’ 개최
- 차바이오텍, 분기 최대 실적 냈지만…영업손실 413억 원
- 더샵 오창 프레스티지, 오창 신흥 주거 중심지로 '주목'
- 해탄, ‘2025 대한민국 고객만족브랜드대상’ 2년 연속 수상
- 테슬라, 감독형 완전자율주행 韓 도입 예고…“적용 가능 차량은”
- 에이치엠넥스, 반도체 호조에 3분기 영업익 672% ‘급증’
- HMM, 3분기 영업익 2968억원… 전년比 80%↓
- 오파스넷, 3분기 매출 428억 원…누적 1453억 원 달성
- 부천 원미 동문 디 이스트, 회사보유분 분양
- SKT, 수험생 혜택 담은 ‘0 수능 페스티벌’ 개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GAP기반 저탄소농업 실천 포럼’ 개최
- 2제이케이아이앤씨, APEC CEO 서밋 '이미용·의료서비스' 행사 참여...'맞춤형 화장품' 기술 시연
- 3日 가수 모에나, 서울서 두 번째 팬미팅 ‘Re:Connect’ 개최
- 4차바이오텍, 분기 최대 실적 냈지만…영업손실 413억 원
- 5동절기 대비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특별점검
- 6라이프 네트웍스 “자체 AI 제작 영상으로 코인 백서 공개”
- 7더샵 오창 프레스티지, 오창 신흥 주거 중심지로 '주목'
- 8아라소프트, 인도네시아 디지털 교재 도입 위한 MOU 체결
- 9춘천시, 지역 건축사와 머리 맞대 건축 정책 논의
- 10겨울철 강설․결빙 대비 도로제설 비상관리체계 가동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