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전국 미분양 주택 감소…"지방 미분양은 더 나올 듯"
"수도권 미분양 거의 없는 수준"
"광역시 지방은 계속 나타날 듯"

[서울경제TV=설석용기자] 전국적으로 미분양 주택이 전년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올 5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총 3만3,894호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전월(3만6,629호) 대비 7.5%(2,735호), 전년 동월(6만2,741호) 대비 46.0%(2만8,847호) 각각 감소한 수치다.
준공 후 미분양은 5월말 기준으로 전월(1만6,372호)대비 3.6%(584호) 감소한 총 1만5,788호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수도권 미분양은 3,016호로 전월(3,783호) 대비 20.3%(767호) 감소했고, 지방은 3만878호로 전월(3만2,846호) 대비 6.0%(1,968호) 줄어들었다.
특히, 지방 미분양은 지난 해 8월(5만2,054호) 이후 9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으며, 전년 동월(5만2,523호) 대비 41.2%(2만1,645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전월(2,925호)대비 8.5%(250호) 감소한 2,675호로 조사됐고, 85㎡ 이하는 전월(3만3,704호) 대비 7.4%(2,485호) 즐어든 3만1,219호로 집계됐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수도권에 (미분양이) 3,000호 밖에 없는데 지금 같은 상황에서 보면 한 개 단지 수준"이라며 "수도권에는 미분양이 거의 없다고 봐도 된다. 지방 쪽에 3만1,000호 정도 있는데 평상시 이 정도 수준은 유지가 된다"고 말했다.
이어 "눈에 보이는 수치가 있지만 수도권 내에는 (미분양이) 거의 없고 지방에 조금 있는 거니까, 시장 내 미분양 흐름에 대한 의미 부여 자체가 어렵다"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지방 광역시를 제외하고는 입지 편차가 크다기 때문에 앞으로 지방에서 미분양 현상은 가능하다"며 "수도권 내에서는 미분양 단지가 생기기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한편, 이달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국 2만8,279호로, 착공은 4만4,717호, 분양실적은 전국 4만1,357호, 준공실적은 전국 3만7,879호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년동월(2만9,398호) 대비 3.8% 감소한 수치다. 서울은 4,124호로 전년동월 대비 2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joaqui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위클리비즈] “제 2의 성수 되나?”…광장시장, MZ·외국인 ‘놀이터’ 되다
- 불황 속 ‘가성비 PB’ 인기…CU, 글로벌 유통 확대
- 전시장의 변화…르노코리아 “車 판매 넘어 일상 공간으로”
- 정기선 HD현대 회장 승진…‘3세 경영’ 본격화
- 삼성, 美 그레일에 1550억 베팅…헬스케어 강화
- 네이버, 로봇 산업 광폭 행보…피지컬 AI 실현할까
- [단독] 현대엔지 플랜트본부 구조조정?…“1000여명 유급 휴직”
- '르엘 어퍼하우스' 프라이빗 멤버십, '카펠라 더 클럽' 오픈
- 한화오션 "거제사업장 사망사고 깊이 사과"…"안전관리 전면 재점검"
- 청소년 국제환경연대 대통령실에 서한…“낙동강 오염 해결해 주세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드론레이싱 국제연맹 출범…남원서 새 역사
- 2"남원 가을, 흥에 물들다"…제33회 흥부제 신명 나게 개막
- 3드론 레이싱·미디어데이 등 '열기 후끈'
- 4아이넷방송 박준희 회장, 세계문화예술올림픽조직위 상임고문 위촉
- 5달성군, 2025 청소년 축제 개최…‘달성의 빛날 미래, With Youth’
- 6달성군, 생활권 맞춤 가로수 전정으로 거리 미관 개선
- 7대구 달성군, 출산·양육가구 주택 취득세 최대 500만원 감면
- 8달성군, 추석 연휴 ‘응급진료체계’ 가동…의료 공백 없는 안정적 진료체계 구축
- 9대구시, ‘2025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 대구국제포럼’ 개최…세계 15개국 문화도시 한자리에
- 10대구시, 경력단절여성 위한 ‘찾아가는 여성일자리 굿잡(Good Job)’ 운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