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눈] 전주 새 소각장 건설…'하남시 소각장' 모델 삼아야
소각장 지하화, 지상은 공원화…체육시설 등 주민 지원 확대 필요
[전주=유병철 기자] 폐기물 소각장 신설이나 증설의 경우 거의 대부분 지역에서 주민과의 분쟁과 갈등이 일어난다. 혐오시설이고 '님비'시설이기 때문이다.
14일 정부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전국적으로 소각장 신·증설을 둘러싼 갈등은 60곳이 넘는다. 생활쓰레기 소각장 40여곳과 사업장 쓰레기소각장 20여곳이 신설·증설에 한창이다.
2021년 6월부터 불거진 소각장 분쟁은 세종, 충북 청주· 괴산, 서울 마포구, 인천, 경기도 부천· 수원· 구리· 남양주, 전북 완주, 대전, 광주, 부산 등지에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전주의 경우에도 현재 가동중인 전주소각장 관련, 인근지역 13개마을이 전주시를 상대로 피해를 호소하고 있어 보상을 협의중이다.
이런가운데 전주소각장은 내구연한이 도래되어 4년 후 2026년이면 종료된다. 안전진단(기술진단)에서도 새소각장을 지어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새 소각장 입지선정이 코앞에 다가온 것이다. 하지만 혐오시설의 새 소각장 입지선정은 새로운 갈등이 우려된다.
시민들은 "전주시는 이를 고려해 경기도 하남시 소각장을 본보기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하남시 소각장은 쓰레기 처리시설을 모두 지하로 넣었다. 지상은 공원과 체육시설, 물놀이장등으로 조성했다. 가스를 배출하는 굴뚝까지 전망대로 만들었다. 주변엔 대형 쇼핑몰은 물론 아파트 단지도 들어섰다.
소각장의 부정적 이미지를 친환경 이미지로 완전히 탈바꿈시킨 것이다. 개장 뒤 시민 200만 명이 지상 공원을 방문했고 다른 지역의 견학 인원도 3만5,000 명에 이르는 것으로 하남시는 밝혔다. 또 시설을 지하로 넣어 부정적 이미지를 없애고 냄새를 잡는 데 최선을 다했다. 지상을 공원으로 만든 것이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강조했다.
최근 광주시역시 새 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하남시 모델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시는 2030년까지 건립을 목표로 총 사업비 4,000억원을 들여 하루 600톤 처리용량 2기를 신설할 계획이다.
전 세계가 쓰레기처리에 몸살을 앓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없어서는 안될 폐기물시설 설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우리동네로 들어오는 것은 결사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어딘가에는 설치해야 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이다.
전주시 역시 어딘가에는 새 소각장을 짓기위해 추진중이다. 입지선정 공고를 코앞에 두고 있다. 플라즈마 소각장 추진으로 2년간의 행정을 낭비했지만 새로 출범한 우범기 시장은 대담한 소각장 정책으로 바꿔야 한다. 영향지역 주민들에게 과감한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
전주시자원순환과 관계자에 따르면 부지 15000평이상의 부지에 하루 550톤을 처리할수 있는 규모의 새소각장을 추진중이다. 더구나 전주시를 비롯한 김제시 완주군 임실군까지 4개 자치단체가 이용하는 광역소각장이다.
현 소각장은 하루 300톤 처리용량으로 설계에서 부터 문제가 적지않아 감사원 감사에서 지적을 받았다. 현재의 소각장은 낡아 고장이 자주나고 세금먹는 하마가 됐다.
전주시 우범기호는 배짱 큰 공약을 내걸고 절대적인 지지를 받고 시장에 당선됐다.
"규제를 풀고 100층 200층짜리 빌딩도 지어야 한다"며 옛 대한방직터 개발등에도 속도를 내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우 시장은 분명히 하남시같은 새 소각장을 건설할 수 있을 것이란 구상이다.
우범기 시장은 10년이 넘는 폐기물처리시설로 인한 시와 의회, 지역주민들과 전쟁에 종지부를 찍고 갈등없는 사회, 쾌적한 전주시를 만들기를 시민들은 소원하고 있다. /ybc910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