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개미 잡아라"…키움증권, 미국 법인 세운다
금융·증권
입력 2024-12-23 19:44:08
수정 2024-12-23 19:44:08
김보연 기자
0개

키움증권이 미국 현지에 법인을 설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 투자 열풍이 거세지자 증권가에서도 수수료 무료 서비스, 24시간 환전 등 서학개미 모시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리테일 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는 키움증권도 미국 현지 법인 설립에 나섭니다. 김보연 기자입니다.
[기자]
키움증권이 미국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3일 키움증권에 따르면 회사는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는 없으나 수수료 비용 구조 개선과 미국 시장에 대한 기회 검토 목적으로 미국 현지 법인을 설립하거나 별도로 현지 증권사를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키움증권은 이후 브로커딜러 라이센스를 취득한다는 목표입니다. 국내 증권사가 이를 취득하면 현지 브로커 증권사를 통하지 않고 미국 주식 거래를 중개할 수 있게 됩니다. 현재 국내에선 NH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등이 미국 현지 법인에서 해당 라이센스를 갖고 있는데요. 이를 자체 중개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신한투자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해외주식 수수료 비용률은 키움증권 4.8bp, NH투자증권 3.6bp, 한국투자증권 1.3bp, 미래에셋증권 0.6bp입니다. 현지 브로커에게 지급하는 수수료 비용률이 1.9bp수준입니다. 반대로 수수료율은 미래에셋증권 16.8bp, NH투자증권 12.5bp, 한국투자증권 8.4bp, 키움증권 8.3bp입니다.
키움증권은 해외 주식 거래로 고객으로 부터 수취하는 수수료가 가장 적을 뿐더러 이후 지불하는 비용이 4군데 중 가장 높은 반면 미래에셋증권은 정반대입니다. 비용은 8배를 더 쓰지만 수취는 절반 수준도 못하는 수준입니다. 같은 기간 시장 점유율은 키움증권이 20%로 업계 1위지만 해외주식 확대에 따라 가장 큰 수혜를 보는 증권사로 미래에셋증권이 꼽히는 이유입니다.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보관금액은 지난 19일 기준 1,112억6,299만달러, 우리 돈으로 161조5,316억원을 넘겼습니다. 올해 초만 해도 650억달러 수준이었는데 2배 가까이 불어날 정도로 미국 주식 시장 규모는 나날이 커지고 있습니다.
증권업계의 미국 시장 점유율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경제TV 김보연입니다. /boyeon@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공정위 "가전 무료? 소비자 기만"…웅진·보람·교원·대명 4개 상조 제재
- 증권사 RP 보유량 100조 육박 '역대 최대'…단기 자금 파킹 수요↑
- 코스피 거래대금 전주 대비 20% 감소…세제 개편안 실망감
- 상반기 배당소득 흑자 역대 최대…1년 새 88%↑
- 기재부서 예산기능 떼고 금융위 해체?…경제부처 개편안 13일 발표
- 보험사 교육세 인상 여부 촉각…"세율·과표구간 조정 필요"
- 5대은행 가계대출 1주만에 2조 증가…신용대출에 1조 몰려
- 美연준 보먼 "연내 3회 금리인하 해야"
- 저축은행, 'PF 5차 펀드' 조성…하반기 부실자산 1조 추가 정리
- 의무보호예수 물량 쏟아진다…'투자주의보'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공정위 "가전 무료? 소비자 기만"…웅진·보람·교원·대명 4개 상조 제재
- 2현대차그룹, 상반기 영업익 폭스바겐 제치고 글로벌 '톱2' 올라
- 3사망사고 줄잇는 포스코이앤씨, 신용등급 악화 우려…회사채 거래 '뚝'
- 4증권사 RP 보유량 100조 육박 '역대 최대'…단기 자금 파킹 수요↑
- 5영천시, 2025년 도시농업관리사 자격취득과정 교육생 모집
- 6APEC 개최도시 경주, 세계 유일 고분 콘서트 ‘봉황대 뮤직스퀘어’ 8월 밤하늘을 수놓는다
- 7APEC 개최도시 경주, 광복 80주년 맞아 태극기 물결로 물든다
- 8코스피 거래대금 전주 대비 20% 감소…세제 개편안 실망감
- 9경주시, 소상공인 매출 68% 증가..."소비쿠폰 효과 뚜렷”
- 10상반기 배당소득 흑자 역대 최대…1년 새 88%↑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