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릭스PE, 현대증권 경영개입 논란

증권·금융 입력 2015-06-29 17:45:52 수정 2015-06-29 17:45:52 송종호·박준석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본문 리드] 일본계인 오릭스프라이빗에쿼티(PE)가 금융당국의 대주주 적격 승인도 받기 전에 현대증권(003450) 경영에 개입한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예상된다. 오릭스PE는 현대그룹과 주식매매계약은 체결했지만 아직 금융회사인 현대증권의 대주주 지위를 법적으로 확보하지 못한 상태여서 경영에 대한 간섭은 월권이라는 지적이다. 29일 현대증권에 따르면 윤경은 현대증권 대표는 최근 임원회의에서 향후 주요 경영 활동시 오릭스PE가 보낸 인수단의 사전 동의를 받은 후 진행해줄 것을 당부했다. 현대증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오릭스PE 측에서 이사회 소집, 이사회 안건 작성 등 경영상 주요 의사결정을 내리기 전에 자신들의 동의를 받을 것을 요청해왔다"면서 "인수단에 필요한 자료를 협조해달라는 차원을 넘어 사실상 경영에 당장 개입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오릭스 측의 압박에 현대증권 임원 33명 전원이 이날 일괄 사표를 제출했다가 이를 거둬들이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오릭스PE의 이 같은 경영간섭 행위는 법적인 근거가 없기 때문에 문제 소지가 다분하다. 오릭스PE는 지난 18일 현대증권의 기존 대주주인 현대그룹과 주식매매계약을 마쳤지만 경영권은 현행 이사진에 있다. 금융당국의 대주주변경 승인 절차가 끝나야 모든 절차가 마무리되고 경영권도 인수하게 된다. 통상 대주주 변경 심사에는 60일가량 걸려 오릭스PE는 9월쯤 돼야 현대증권의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다. 이전까지는 오릭스 PE와 현대그룹 간 경영권 행사를 둘러싼 모든 구두계약이나 서면계약은 법적 효력이 없다. 인수 후보자가 대주주 적격성 심사 관문을 넘지 못해 인수가 무산됐음에도 피인수 기업의 내부 정보를 통째로 가져가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주주 변경 승인 절차가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이사회 소집이나 이사회 안건 등에 대해 사전 동의를 요구하는 것은 적극적으로 경영 행위에 간섭하는 것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증권가에서는 오릭스PE가 이미 자신들이 원하는 인사로 이사회 멤버 구성을 끝낸 후 현 경영진을 통해 기존 이사들의 자진 사퇴를 종용하고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현대증권 임원들의 전원 사표 제출을 단순 해프닝으로만 볼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주주 변경 심사를 통과할지 알 수 없는 만큼 현재 경영진이 의사결정을 하고 모든 책임을 지는 게 원칙"이라며 "오릭스PE가 장막 뒤에서 책임은 지지 않으면서 대형 금융사의 경영을 좌지우지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오릭스 측 관계자는 이에 대해 "주식매매 계약서상 절차대로 일을 진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생겨 난 것일 뿐 결코 경영에 간섭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송종호·박준석기자 joist1894@sed.co.kr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