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잘나갈때 체질 바꾸자"

증권·금융 입력 2015-07-07 17:43:44 수정 2015-07-07 17:43:44 서민우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본문 리드] 증권사들이 모처럼 찾아온 호황 속에 인력감축과 자본확충 등 체질 강화에 나서고 있다. 국내 증권사의 1·4분기 순이익은 1조원에 달하며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6년 만에 최대 수준을 기록했지만 금리 인하에 따른 채권 평가액 증가와 거래수수료 증가 등 외부 환경에 의존한 측면이 크기 때문이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KDB대우증권(006800)이 지난달 전체 임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희망퇴직에 150명이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우증권이 인력 감축에 나선 것은 2013년 이후 2년 만이며 지난 5월 홍성국 사장 취임 이후 처음이다. 대우증권은 1·4분기 영업이익이 1,425억원으로 업계 최고 수준을 기록한 바 있어 증권업계는 예상을 뛰어넘는 희망퇴직 규모에 놀라는 분위기다. 지난달 중순 대우증권 노사가 희망퇴직 실시에 합의할 때만 해도 신청 인원은 50명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1·4분기 양호한 실적을 기록한 NH투자증권(005940)도 올해 내 추가적인 인력 감축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NH투자증권은 지난해 말 우리투자증권과 NH농협증권의 통합 후 경영 효율성 제고 차원에서 약 600명의 인원을 줄인 바 있다. 증권가에서는 NH투자증권이 최대 15% 정도 인원을 감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NH투자증권도 1·4분기 영업이익이 1년 전에 비해 376% 늘어난 1,233억원에 달했지만 국내 증권사 중 임직원 수가 가장 많아 임금 등 고정비용 비중이 경쟁사에 비해 높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NH투자증권 관계자는 이에 대해 "추가 인력감축은 현재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내년부터 시행 예정인 레버리지비율 규제를 앞두고 자본 확충을 추진하는 증권사도 늘고 있다. 증권사들은 총자산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레버리지비율이 1,100%를 넘으면 내년에 경영개선권고를 받게 되고 1,300% 이상이면 경영개선 요구에 직면하게 된다. 이에 IBK투자증권은 이날 최대주주인 기업은행을 상대로 1,0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IBK투자증권은 이번 증자가 성사되면 레버리지비율이 안정적인 수준으로 낮아지게 된다. 앞서 메리츠종금증권(954%)은 이달 초 5,345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으며 최근에는 레버리지비율이 1,000%를 넘어선 신한금융투자가 유상증자를 추진할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증권사들이 지난해 혹독한 구조조정을 거치며 자체 체력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있다"면서 "최근 실적 개선이 외부 요인에 따른 것인 만큼 악화될 수 있는 경영 상황을 가정해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민우기자 ingaghi@sed.co.kr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