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고개든 '작전'세력

증권·금융 입력 2015-07-16 11:25:02 수정 2015-07-16 11:25:02 박민주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본문 리드] 소액주주로 구성된 주식투자모임 대표 A씨는 5년간 601개 계좌를 이용해 3만6,136회의 가장·통상매매, 5만318회의 시세조종성 주문을 진행했다. 매수세를 유도해 끌어올린 주가로 A씨가 챙긴 부정이익은 1,169억원에 달한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상반기 불공정 혐의 통보 사건은 64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했다. 유가증권과 코스닥시장에서 61건이 발생해 전년 동기 대비 19.6%가 증가했다. 올 들어 주식시장이 살아나면서 소위 '작전'도 기승을 부린 셈이다. 파생상품시장에서는 3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1% 감소했다. 강지호 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 심리기획팀장은 "상반기 코스피지수가 2,100선을 돌파하고 거래대금이 증가하는 등 증시 회복세 속에서 시세조종 유인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불공정거래의 혐의 규모도 크게 늘었다. 사건당 평균 추정 부당이득금액은 76억원으로 전년 평균(15억원) 대비 61억원이 증가했다. 강 팀장은 "심리분석기법 발달과 함께 기관투자가가 관여된 불공정거래와 장기 시세조종 등 대규모 불공정거래 사건이 집중 적발된 결과"라고 말했다. 실제 이 기간 1,000억원 이상 사건 1건, 100억원 이상 사건 7건이 적발됐다. 유형별로는 시세조정이 25건으로 가장 많았고 미공개정보이용(22건), 부정거래(4건)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시세조종을 통한 불공정거래는 전년 동기 대비 31.6% 늘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증시 회복 상황에서 시세조종을 통한 불공정거래 유인 가능성이 보다 높아진 것이라는 게 거래소의 설명이다. 강 팀장은 "1일 시행된 시장질서 교란행위는 2차 이후 정보수령자, 정책정보 생산자 등 정보 비대칭을 이용한 행위에 대해 과징금이 부과되므로 비정상적으로 취득한 정보를 거래에 이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민주기자 parkmj@sed.co.kr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