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 포커스] 대우조선해양 부실 후폭풍

증권·금융 입력 2015-07-16 17:58:49 수정 2015-07-16 17:58:49 이혜진·김보리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본문 리드] "대주주로서 경영 자료 요구 등 제대로 역할 안했다" 강력 성토 추가 지원 과정서 이견 전망에 책임 소재 가리기 조사 불가피 산은 "사측에 실적 문의했는데 항상 문제 없었다 답변" 억울 대우조선해양의 2조원대 부실이 뒤늦게 드러나면서 대주주이자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의 책임론이 들끓고 있다. 나머지 채권은행들은 "산은이 대주주로서 사실상 경영 전반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상황에서 막대한 규모의 부실을 간과한 채 구조조정을 미뤄왔다"며 강하게 성토했다. 따라서 실사 결과가 나온 후 추가 지원과정에서 채권단 간 이견은 물론이고 산은의 관리책임 소재를 가리기 위한 금융당국의 조사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각 채권은행 여신담당자들은 전날 "대우조선해양의 2·4분기 대규모 적자가 불가피하다"는 산은의 발표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 대형 시중은행의 여신담당 임원은 "경영진 교체 이후 '빅배스(대규모 부실 반영)'는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이 정도 규모일 줄은 몰랐다"며 "상장기업인데다 조선업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업이 고무줄식 회계처리를 한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비판했다. 현재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여신 및 지급보증 규모는 수출입은행이 8조원으로 가장 많다. 미확정 이행성 보증 4조5,000억원까지 포함하면 익스포저는 12조5,000억원에 달한다. 이외에도 농협은행 1조6,000억원, 국민은행 9,000억원, 하나외환은행 1조100억원, 우리은행 5,500억원 등이다. 채권기관들 사이에서는 대주주인 산은의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다. 대출기관들은 의심이 들더라도 해당 기업에 관련 자료를 요구하는 데 한계가 있지만 대우조선 지분 31%를 보유한 산은은 각종 경영 관련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데 이런 역할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조선 '빅3' 중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막대한 규모의 부실을 털어내는 상황에서도 계속된 대우조선의 흑자행진을 의구심을 품고 들여다보지 않았다는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한 채권은행 관계자는 "최고재무책임자(CFO)를 파견한 대주주인 산은이 대규모 부실을 사전에 몰랐을 리 없다"고 지적했다. 다른 채권은행 관계자는 "산은이 부실을 몰랐을 리도 없지만 정말 해명대로 몰랐다면 무능은 더 큰 문제"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산은은 억울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산은은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경영관리위원회'가 대우조선을 매년 평가하는 상황에서 회계법인 감사 결과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산은 관계자는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에서 해양플랜트 관련 부실이 발생했는데 비슷한 물건을 수주한 대우조선은 실적이 좋게 나오니 전임 대표한테 수차례 물었지만 항상 '문제없다. 부실을 털고 있다'는 입장을 전달해왔다"며 "올해 사장 교체도 미심쩍은 부분이 있어 이뤄진 것"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채권은행들은 추가 지원에 대해 한결같이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한 시중은행 여신 담당자는 "산은이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해오면 그때 논의하겠지만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채권은행들의 출자전환에 동의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또 다른 채권은행 관계자는 "산은이 뼈를 깎는 구조조정 방안과 대주주로서의 책임을 다하는 방안을 모두 내놓은 상태에서 다른 채권기관에 지원을 요청해야 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시중은행들은 대우조선의 부실이 불거지면서 충당금을 쌓는 문제도 고민하고 있다. 일단 당국이 자율협약이나 워크아웃으로 가지 않고 유상증자 등으로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데 대해 다소 안도하고 있지만 부실이 노출된 만큼 기존처럼 정상여신으로 분류하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미 부실이 노출됐기 때문에 충당금을 어느 정도 쌓아야 할지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일부 만기가 돌아오는 여신의 연장 여부와 조건을 놓고도 내부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산은은 우선 한두 곳의 회계법인을 선정해 오는 20일부터 대우조선해양 실사에 돌입한다. 회계부실 의혹뿐만 아니라 정확한 부실상황을 파악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긴급 유동성 지원, 구조조정 방안 등의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산은 책임론에 대해 금융당국은 우선 산은의 실사 결과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부실을 회계에 반영하는 것 자체가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며 "향후 회계감리를 해봐야 산은의 책임 여부를 따질 수 있다"고 전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도 "아직 혐의감리 여부를 결정할 단계가 아니다"라며 "산은의 조사 결과를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이혜진·김보리기자 hasim@sed.co.kr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