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 포커스] 대우조선 구조조정안 놓고 책임주체 '엇박자'

증권·금융 입력 2015-07-21 17:54:17 수정 2015-07-21 17:54:17 김보리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본문 리드] 대우조선해양의 2·4분기 부실이 많게는 3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금융위원회와 산업은행, 그 밖의 채권은행 등 구조조정 주체들이 지원방안을 두고 엇박자를 내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주주인 산은이 주장하는 자율협약은 실현 가능성이 낮을 뿐 아니라 대주주의 책임을 피하기 위한 측면이 강하다는 이유로 금융당국은 물론 채권은행들의 비난까지 사고 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의 책임주체인 금융위·산은·수은 등 채권은행이 구조조정 방식을 두고 각각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이견을 내고 있다. 당초 산은 내부에서는 대우조선해양의 손실을 털어내고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자율협약이 유리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자율협약과 유상증자 방식의 가장 큰 차이는 산은의 역할이다. 대우조선해양이 자율협약에 들어가 신규 자금지원을 받게 되면 산은은 수은·농협은행·국민은행 등과 같은 채권단 중 하나로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은행권의 대출 및 보증액 14조6,000억원 가운데 산은이 가진 2조4,000억원만큼의 비율로 자금지원에 참여하면 된다. 전체 채권액의 14.6%가 산은의 부담 비율이 되는 셈이다. 하지만 당국에서 말하는 유상증자 방식이 되면 산은은 채권단의 일부가 아니라 대주주 자격으로 유상증자에 단독 참여하게 된다. 유상증자를 하면 산은의 부담은 절대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다. 산은이 자율협약을 염두에 둔 근거 중 하나는 다른 기업과의 형평성이다. 산은이 48.15%의 지분을 보유한 STX조선해양은 경영악화와 자본잠식 등으로 지난 2013년 자율협약에 들어갔다. 산은 관계자는 "STX조선해양·동부도 각각 자율협약·워크아웃으로 갔는데 형평성에 맞춰 자율협약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물론 채권단도 자율협약 방식은 산은이 책임론을 피해가기 위한 수단이라며 강하게 비난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 부행장은 "산은이 대우조선해양의 대주주인 최고재무책임자(CFO)까지 파견해 관리 중인 상황에서 부실이 나니 은행권 공동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것은 산은의 책임회피"라고 지적했다. 수은 역시 자율협약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수은은 성동조선 자금지원으로 신규 지원 여력이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대우조선해양까지 떠맡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수은은 대우조선해양에 금융권에서 가장 많은 8조3,000억원의 여신을 제공한 최대 채권기관으로 은행권 여신액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한다. 자율협약에 따라 신규 자금을 대출할 경우 이 비율대로 수은은 신규 대출의 거의 50%를 부담해야 한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도 이와 관련해 "자율협약으로 가려면 산은이 수은과 다른 은행 한 곳의 동의를 더 받아야 한다"며 "지금 상황에서 자율협약에 동의할 채권은행이 어디 있겠냐"고 반문했다. 한편 산은은 이날 삼정회계법인을 통해 대우조선 실사에 착수했다. 실사범위에는 국내 본사 외에 루마니아 망갈리아조선소와 북미의 풍력 부문 자회사 드윈드 등 해외 부실 자회사까지 포함됐다. 산은은 회계법인에 의뢰해 실사를 진행하는 동시에 주요 채권은행인 수은·농협과 공동으로 경영관리단을 파견해 실사 진행상황과 경영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산은은 실사 기간에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 문제도 채권은행들과 함께 책임지기로 했다. 산은은 이날 대우조선이 덴마크 머스크사에서 수주한 컨테이너선에 대한 선수금환급보증(RG) 취급을 승인했으며 여타 채권은행도 앞으로 신규 수주 선박에 대한 RG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산은은 실사가 마무리된 후 대우조선해양을 정상화하기 위한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산은은 "비핵심 자산 매각, 조직 슬림화와 재정비, 강력한 비용절감 방안 실행, 부실 자회사 정리 등 시장이 납득할 수 있는 자구계획을 신속히 이행하도록 할 것"이라며 "신규 대출과 유상증자 등도 실사 결과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보리기자 boris@sed.co.kr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