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주의보’… 종목형 3분의1 투자원금 반토막

증권·금융 입력 2015-08-13 18:05:00 수정 2015-08-13 18:05:00 이보경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종목형 ELS 발행액중 31%에 달하는 5,400억원 가량이 손실구간인 녹인구간에 들어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에따라 현재 종목형 ELS의 평가손실 규모는 2,500억원 이상으로 추산됩니다. 쉽게 말해 종목형 ELS 3분1의 투자원금이 반토막이 난 것입니다. 보도국 이보경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종목을 기초자산으로하는 스텝다운형 ELS 발행규모는 지난 7일 기준 1조7,167억원입니다. 이중 손실가능 구간, 즉 녹인구간간에 진입한 ELS 발행규모는 5,377억원에 달합니다. ELS상품은 녹인구간에 들어가면 투자원금의 50%가 넘는 대규모 손실을 보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당초 ELS가 ‘중위험 중수익’으로 알려진 데는 종목형 ELS의 경우 해당 종목 주가가 50% 이상, 즉 반토막나기 쉽지 않다는 전제가 깔려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가입시 설마 주가가 50% 넘게 떨어지겠느냐는 생각으로 ELS상품에 가입한 셈이죠. 포스코, 현대차, LG전자등 한국증시에 상장돼 있는 굴지의 대형주들이 그렇게 주가가 빠지겠느냐고 믿은 것입니다. 그런데 설마가 현실이 됐습니다. 최근 LG전자, 대우조선해양 등 일부 대형주들이 급락하면서 관련 ELS들이 대거 손실을 본 것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조선업종 실적악화로 조선주 주가는 연일 52주 신저가를 갈아치우며 급락했습니다. 그러자 조선주를 기초자산으로하는 ELS 99%이상이 원금손실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른 예상손실액은 발행금액의 절반인 86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또 이달 11일 12년2개월만에 4만원대 주가가 깨지는등 급락세를 이어온 LG전자를 기초자산으로하는 ELS는 현재 총 337억원의 발행규모가 녹인구간에 진입해있습니다. 170억 이상의 손실이 추산됩니다. GS건설와 삼성엔지니어링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로 인한 손실추정액이 각각 390억, 305억에 이르는 등 ELS로 인한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인터뷰] 황세운 실장 / 자본연구원 (ELS상품은) 투자위험이 전혀 없는 상품은 아니고요. 녹인이 났을때 그피해는 100% 투자자분들에게 돌아갈수밖에 없습니다. 그러한 부분들이 ELS상품이 판매될때 사실은 거의 위험이 없는 상품처럼 소개가 됐던 측면이 있는것 같은데 이런 부분들이 앞으로는 바뀌어야될 부분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고요. [스탠딩] 아직 만기가 되지 않아 종목형 ELS 상품들이 녹인구간을 벗어날 가능성도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ELS의 리스크도 만만치 않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보경입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