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방일 韓관광객 5% 감소…日경제보복에 8년만에 역성장하나

올해 들어 일본을 찾은 우리나라 관광객이 작년보다 5%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일본 정부의 우리나라에 대한 경제보복으로 양국 관계가 급속이 냉각되는 과정이어서 국민의 '일본여행 거부' 운동이 겹친다면 올해 방일 한국인 수가 8년 만에 처음으로 역성장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7일 한국관광공사의 우리 국민 해외 관광객 주요 행선지 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5월까지 일본에 입국한 한국인은 325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연간 방일 한국인 수는 2011년 166만명에서 2018년 754만명까지 7년 동안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올해는 감소로 반전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여행업계의 전망이다.
사실, 일본여행 감소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수치로 포착됐다. 작년, 방일 한국인 수는 5월까지 전년 대비 15~29% 수준으로 증가했으나 6월에 6.6%로 증가율이 한풀 꺾이더니 7월에 5.6% 감소로 돌아섰다. 2014년 6월 이후 49개월 만에 방일 한국인 수가 줄어든 것이다. 이후 작년 12월(0.4% 증가)과 올해 2월(1.1% 증가)을 제외하고는 매월 일본 관광객이 감소로 집계되고 있다.
이런 와중에 일본 정부가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손해배상 판결에 대한 경제보복에 나선 것은 상황에 기름은 부은 격이라는 지적이다.
국내에서 일본 제품 불매와 여행 거부 운동이 벌어질 조짐이 일면서 일본여행 심리가 더욱 얼어붙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미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일본 제품 불매 리스트와 함께 "일본여행을 가지 말자"는 요지의 글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자들은 일본여행을 취소했다는 인증 사진을 올리기도 한다.
주요 여행사들은 일본 여행상품의 예약이나 취소와 관련해 예년과 다른 흐름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일 관계와 국민 대일감정의 악화가 심상치 않은 수준으로 전개되면서 일본으로 향하는 우리나라 여행객이 두드러지게 줄어드는 게 아닌지 촉각을 세우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일본의 경제보복이 한일 관계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일본여행의 인기에도 부정적 요인이 될까 우려된다"며 "사태가 더 커지기 전에 조속히 해결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우리 해외 관광객의 방문국은 일본이 754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베트남 344만명, 미국 221만명, 필리핀 159만명, 홍콩 142만명, 대만 102만명 등 순이었다. 이밖에 태국은 12월을 제외하고 161만명, 중국은 마지막 자료인 2017년 기준 385만명이었다. /이보경기자 lbk508@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포항시, 중국 광저우 여행업계 초청…중화권 관광시장 공략 본격화
- ‘숲으로 미래로’ 2025 경상북도 산림박람회, 포항 환호공원서 성황리 마무리
- 영천시와 K-water간 콜라보 행사 ‘성황'
- 경주시, 상상황리단길 홈페이지 만족도 설문 조사 시행
- 경주시, 반려견 놀이터 준공…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 기반 강화
- 김민석 국무총리, 경주시청 방문…APEC 정상회의 준비상황 점검
- 김천시, ‘2025 김천김밥축제’ 앞두고 관광택시 간담회 개최
- 포항-수원컨벤션센터, MICE 산업 동반 성장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 원주시, 소상공인 온라인 입점 및 라이브커머스 교육 4기 수강생 모집
- [기자수첩] 지역경제의 버팀목 강원랜드… 규제의 굴레를 벗을 때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GC녹십자엠에스, 개인용 혈당측정기 ‘GC Fit 혈당측정기’ 출시
- 2셀트리온, 美서 유플라이마 소아 적응증 추가 획득
- 3KT,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KT 이노베이션 허브’ 개소
- 4오뚜기, ‘찍어먹는 뿌셔뿌셔 구운양파맛’ 출시
- 5티웨이항공, 필리핀 관광부와 공동 프로모션 진행
- 6현대차, '2025 TCR 월드투어 6라운드' 한국 레이스 우승
- 7휴니드, ADEX서 ‘미션 레디 나우’ 비전 공개…“글로벌 파트너 협력 속도”
- 8CJ온스타일, 동반위와 상생 협약···800억 상생 프로그램 추진
- 9포항시, 중국 광저우 여행업계 초청…중화권 관광시장 공략 본격화
- 10‘숲으로 미래로’ 2025 경상북도 산림박람회, 포항 환호공원서 성황리 마무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