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콧 재팬’ 이제 시작”…일본행 항공여객 한달새 13%↓

한국에 대한 일본의 수출규제로 촉발된 일본여행 거부 운동이 확산하면서 일본을 찾는 항공여객 수가 급감하기 시작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국적 항공사들의 대응도 빠르고 적극적으로 변하고 있다. 국적사들은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일본 노선은 공급과잉 문제로 이미 몇 달 전부터 노선 조정을 계획하고 있었다”며 보수적으로 접근했지만, 일본 여객 감소 폭이 커지자 노선 감축, 운항 축소, 대체 노선 발굴 등 본격적인 대응에 나선 모습이다.
31일 국토교통부의 최근 항공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보이콧 재팬’ 등 구호를 걸고 일본제품 불매운동과 함께 자발적인 일본여행 거부 운동이 시작된 7월 중순부터 일본 노선 항공여객 감소세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 휴가가 본격화된 이달 16∼30일 보름간 인천공항을 이용해 일본여행을 다녀온 승객은 총 46만7,249명으로 휴가 시즌을 앞둔 한달 전 같은 기간(6월16∼30일·53만9,660명)과 비교해 7만2,411명(13.4%) 감소했다.
‘보이콧 재팬’ 운동 직전인 6월 하반기(15∼30일)를 기준으로 비교하면 7월 상반기(1∼15일) 일본 여객은 50만1천122명으로 7.1% 줄었고, 7월 하반기(16∼30일)는 감소 폭을 13.4%까지 키운 것이다. 이같은 일본 여객 감소는 한국인의 일본 여행 취소와 국적사의 일본 노선 감축 등이 영향을 미쳤다.
일본여행 거부 운동이 확산할 조짐을 보이자 항공업계 움직임도 빨라졌다. 대한항공은 9월 3일부터 부산∼삿포로 노선 운항을 중단하고, 다른 일본 노선에도 투입 항공기를 소형기로 전환해 좌석 공급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도 9월 중순부터 인천발 후쿠오카·오사카·오키나와 노선 투입 항공기를 기존 A330에서 B767·A321 등으로 변경해 좌석 공급을 축소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에어부산, 티웨이항공 등 LCC들은 일본 노선 공급과잉과 여행객 감소 등을 이유로 일본 노선 운항을 축소했다. 티웨이항공은 이달 24일부터 무안∼오이타 노선 운항을 중단한 데 이어 9월부터 대구∼구마모토, 부산∼사가 등을 연결하는 정기편을 중단한다. 이스타항공 역시 9월부터 부산∼삿포로·오사카 노선 운항을 중단한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정연욱 의원 “게임·음악 등 콘텐츠 분야도 세제 지원해야”
- 여수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산단 근로자 지원 본격화
- 명현관 해남군수, 2026년 신규시책 발굴 보고회서 미래비전 제시
- 김한종 장성군수 "안전 최우선으로 이용 편의성 확보"
- 기장군, '2025년 하계 청소년 영어캠프' 개최
- '행동하는 양심' 김대중, 고향 하의도서 다시 만나다
- 인천시, 미국 통상 압박에 어떻게 대응하나
- 화성특례시, 농·축·수산 분야 기관 현장 목소리 청취
- 신성영 인천시의원 “주민·산업 중심 공정 정책 필요”
- 인천시, 인천대로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원도심 활성화 해법 될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정연욱 의원 “게임·음악 등 콘텐츠 분야도 세제 지원해야”
- 2무신사, IPO 절차 본격화…“해외 진출·신사업 확대”
- 3노란봉투법, 초읽기…“韓 아시아 허브 위상 흔들”
- 4현대차, 7년 만에 파업할까…한국GM은 부분 파업
- 5훈풍 부는 SI업계…‘AX’ 바람 타고 실적 ‘껑충’
- 6신한銀, 런던지점 역할 강화…"글로벌 금융 허브로"
- 7거래량 많다고 거래 정지?…NXT '15%룰' 논란
- 8여수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산단 근로자 지원 본격화
- 9현대건설-한화오션, 해상풍력사업 ‘맞손’
- 10보험사 새 돌파구? 이지스운용 인수전 '가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