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루머]파버나인코리아, 日 독점 편광판 시장 신기술 개발, “글로벌 기업과 편광판 테스트”
파버나인 계열사 파버나인코리아가 디스플레이 편광판을 한일 글로벌 기업에 공급하고 테스트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일본은 전 세계 편광판 시장을 독점하고 있어 파버나인코리아가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일본 수출규제 수혜주로 부각 될 전망이다.
일본 정부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배제 결정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일본 의존도가 높은 소재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일본은 디스플레이 편광판에서 시장점유율 62%를 차지하고 있다. TV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편광판은 LCD 패널의 전·후면에 부착해 빛을 통과하게 하거나 차단하는 필름이다.
지난 2017년 LG 화학은 편광판 시장에서 26.0% 점유율로 세계 1위를 기록했지만, 최근 관련 사업을 정리하고 매각에 나서면서 지난해 일본 스미토모그룹(24.0%)에 1위 자리를 내줬다. 일본 기업의 시장점유율이 확대됨에 따라 편광판 공급 우려감은 점차 커질 전망이다.
최근 파버나인코리아는 나노패턴을 활용해 얇고 가벼운 차세대 편광판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얇고 가벼워 박판화가 가능해 폴더블 디스플레이에서부터 카메라 모듈,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등 다양한 기기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회사 관계자는 “한국과 일본 다수의 글로벌 기업에 차세대 편광판 샘플을 보낸 상태이며, 현재 테스트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제품 기술력이 뛰어나 제품화 기대감이 높지만, 아직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덧붙였다.
파버나인코리아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개발사를 포함한 다수의 국내 기업과 일본 글로벌 이미지 센서 업체에 제품을 공급하고 테스트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파버나인코리아가 개발한 제품은 두께가 50마이크로미터(㎛, 1㎛=100만분의 1m)에 불과하고 유리 박판 위에 나노패턴을 복제해서 제작한 편광판이다. 인쇄된 나노패턴 위에 금속을 코팅한 반사형 편광판으로, 기존의 폴리비닐알코올(PVA) 편광판이 구현하기 어려운 첨단 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 이 제품은 고품질·경량화 강점을 보유하고 있어 ARㆍVR용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의 핵심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박판화가 가능해 폴더블 디스플레이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파버나인은 파버나인코리아의 지분 19.7%를 보유하고 있다.
/배요한기자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케이지에이, 평택 신공장 준공…내달 말 입주 예정
- 인포스탁, '맞춤형 ETF투자정보서비스' 선봬…ETF 80개 테마로 분류
- 이찬진 금감원장 "'삼성생명 일탈회계' 논란, 국제기준 맞춰야"
- 엔바이오니아, '메타아라미드페이퍼 제조기술' 대한 국가핵심전략기술 획득
- IBK기업은행,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서비스' 제휴사 확대
- 신한은행, 21일 '오락실 적금' 사전예약 접수 시작
- KB국민카드, 국내 여전사 최초 '지속가능연계 신디케이트 론 조달' 성공
- 하나은행, '다이렉트 해외송금' 서비스 인도네시아로 확대 시행
- SK하이닉스, 닷새째 오르며 첫 50만원 돌파
- 유안타증권, VIP 초청 자선 프로암대회 성황리 개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한항공, 3분기 영업이익 3763억 원…전년比 39%↓
- 2장흥군, ‘정신건강의 날’ 기념 캠페인
- 3김한종 장성군수 "'장성형 먹거리 모델' 완성으로 지역 경제 함께 성장"
- 4조계원 의원,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위원장 출마 공식 선언
- 5광주시장애인체육회, "국가AI컴퓨팅센터 준비된 광주로"
- 6인천시의회 정종혁 의원, 직장 내 괴롭힘 제재 근거 강화
- 7인천 옹진군, 갯벌 사망 사고 막는다…출입통제 공고 추진
- 8발로 뛰는 공영민 고흥군수, 군내버스·출근길 소통으로 군민 목소리 경청
- 9정연욱 “정부, 미국 로또 불법홍보 방치…국민 피해 뻔한데 사실상 방조”
- 10인제나노칼슘, 대한임상보건학회 '칼슘 부문 최우수 기업' 선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