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이슈보다 미중 분쟁·내수 경기가 더 문제”

[앵커]
앞서 보신 레포트에서 전해드린 대로 오늘 일본은 한국을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에서 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화이트리스트 제외 이슈가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는 상황인데요. 전문가들은 화이트리스트 제외보다는 미중 무역분쟁과 내수경기 침체가 더 큰 이슈라는 분석을 내놨습니다. 이소연 기자입니다.
[기자]
화이트리스트 제외 소식이 전해진 직후 장중 한때 코스피는 1,987선까지, 코스닥은 609선까지 하락하며 크게 흔들렸습니다.
하지만 양 지수 모두 이내 개장 초반 수준으로 회복했습니다.
화이트리스트 제외 이슈를 앞두고 금융시장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는 커졌던 상황.
그러나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일본 이슈보다는 미중 무역분쟁과 내수경기 침체가 금융시장 전반에 주는 영향력이 더 크다고 말합니다.
[싱크]윤지호 /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화이트리스트 때문에 (코스피) 2,000포인트가 붕괴됐다’ 이 자체는 약간 이슈가 많이 반영돼 왔는데 좀 확대해석한 것이 아니겠는가… 오늘 만약 증시 급락의 가장 큰 이유가 뭘까 생각해본다면, 결국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재차 점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특히 채권시장의 경우, 채권의 강세는 국내 경제지표들이 안 좋았던 올해 내내 이어졌다며 화이트리스트 제외가 채권 강세장에 주된 요인은 아니라는 분석입니다.
[싱크]강승원 / NH투자증권 채권 전략 연구원
“사실 화이트리스트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애초에 대내적으로 국내 수출·소비·투자 다 안 좋고, 미중 무역분쟁이 계속 격화되고 있고, 이런 국면들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원래 강세 추세인데 그 트랜드가 좀 더 강화되는 재료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주식시장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심리적인 요인을 제외하면 화이트리스트 이슈 자체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현재로서는 크지 않을 전망입니다.
[싱크]이재만 / 하나금융투자 투자전략팀장
“계속 연초 이후에 계속 가격조정을 받아오던 관계에 있으니까. 이거(화이트리스트 제외) 때문에 뭐 흔히 얘기하는 가격이 더 심각하게 빠질 것이라는 생각을 추가적으로 많이 하지는 않는데…심리적인 요인이 워낙 강하다 보니까”
다만 전문가들은 이슈 장기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를 전하기도 했습니다.
부정적인 이슈가 이어지면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싱크]최석원 / SK증권 리서치센터장
“‘(기업 실적이) 3분기 정도까지 나쁘고 4분기에 좋아질 거야’라고 지금 다 예상을 해요. 근데 이런 지금 나오는 소식들이 사실은 기업이익에 마이너스인 요인들이 상당히 많단 말이에요. 그러니까 그때(4분기) 가서 또 이제 3분기가 저점이라고 했는데 ‘3분기가 저점이 아닌가 봐’ 이럴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히 커진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또 높아진 시장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져 원화 약세장이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소연입니다. /wown93@sedaily.com
[영상촬영 김경진 / 영상편집 김준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회장 임기 채워라" "배당 과도"...이복현이 부른 금감원장 영역 논란
- 월가 몰려간 서학개미 잡아라…증권가, 해외 주식 세미나 잇따라
- 현대해상, 작년 순익 1조307억원 '역대 최대'…전년比 33.4%↑
- 한화손보, 작년 순이익 3823억…전년 대비 31.5%↑
- [부고]최철규(저축은행중앙회 경영지원부장)씨 부친상
-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2조원대 '최대 규모' 해킹…"北 소행"
- 2금융 가계빚 7조원 폭증…풍선효과 '경고음'
-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소각"…기업이 주주에게 돌려드립니다
- 호실적 행진에도 킥스 ‘발목’…보험사 자본확충 부담↑
-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엔터·화장품·여행株 다 올랐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산업부, 연구개발·기술사업화 장비구축에 2400억원 투자
- 2광주 북구, 대한민국 건강고령친화도시 정책대상 ‘우수상’ 수상
- 3여야 '5월 조기대선' 가능성에 '고심 VS 본격화' 대응
- 4KT, 에이블스쿨 잡페어…“실무 역량 갖춘 AI 인재 채용"
- 5KT, MWC 2025 참가…대한민국 AI 기술력 알린다
- 6LG엔솔,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46시리즈 공개
- 7삼성SDI, '인터배터리 2025'서 차세대 제품·기술 공개
- 8‘3대 폼팩터 모두 공개’ SK온, 인터배터리 2025 참가
- 9"회장 임기 채워라" "배당 과도"...이복현이 부른 금감원장 영역 논란
- 10월가 몰려간 서학개미 잡아라…증권가, 해외 주식 세미나 잇따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