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글로벌 D램 점유율 6분기 만에 최고치 기록

삼성전자의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이 6분기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디램익스체인지의 보고서에 따르면 올 2분기 전세계 D램 시장 매출액은 148억4,400만달러(약 17조9,600억원)로, 전분기(163억3,300만달러)보다 9.1% 줄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수요 감소와 가격 하락세가 이어진 데 따른 것이나 감소율은 전분기(-28.6%)보다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별로는 삼성전자가 67억8,300만달러로, 점유율 45.7%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전분기보다 매출이 2.7% 줄었으나 점유율은 오히려 3.0%포인트나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17년 4분기(46.0%) 이후 가장 높은 점유율이다. 지난해 4분기 41.3%까지 떨어졌으나 2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SK하이닉스가 전분기보다 12.6% 줄어든 42억6,100만달러의 매출을 올렸으며, 점유율은 1.2%포인트 하락한 28.7%를 기록했다. 미국 마이크론은 미중 무역전쟁 등의 영향으로 매출(30억4,100만달러)이 무려 19.1% 줄어들며 상위 업체들 가운데서는 가장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다. 점유율도 2.5%포인트나 하락한 20.5%에 그쳤다. 이밖에 대만 난야(4억달러)와 윈본드(1억4,900만달러)는 매출이 각각 8.4%와 0.1% 증가했으며, 파워칩(8,300만달러)은 15.3%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디램익스체인지는 올 3분기에도 글로벌 D램 시장의 매출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반도체 소재 수출을 둘러싼 한국과 일본의 갈등으로 7월 들어 D램 현물가격이 올랐지만 현물 시장의 규모가 워낙 작기 때문에 재고 조정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면서 “수요가 여전히 부진해 고정 계약 가격은 하락세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시장 상황이 어려울수록 기술력이 앞선 업체들이 진가를 발휘한다”면서 “이른바 ‘반도체 코리아 연합군’의 점유율이 꾸준히 70%를 상회하며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김혜영기자
jjss1234567@sedaily.com |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더본코리아, 가맹점주 월세 카드결제 서비스 도입…업계 최초
- LG 하이케어솔루션, KSQI 렌탈 케어서비스 4년 연속 1위
- “AI로 영화부터 K-POP까지”…무암, 과기부 장관 표창 수상
- 경제 8단체 공동 입장…상법 ·노조법 개정안 우려 표명
- 한경협, ‘기발한 초등 CEO교실’ 운영…"기업운영 체험"
- 셀트리온, '美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 우선협상자 선정
- 카텍에이치, KIST 기술사업화로 재생탄소섬유 해외수출 본격화
- 휴넷, ‘포사이트 코리아 2026’서 테크·AI 사업전략 집중 조명
- SKT, 자체 언어모델 기반 문서 해석 기술 공개
- 대우건설 상반기 영업익 2335억원…전년 동기比 6.3%↑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더본코리아, 가맹점주 월세 카드결제 서비스 도입…업계 최초
- 2LG 하이케어솔루션, KSQI 렌탈 케어서비스 4년 연속 1위
- 3“AI로 영화부터 K-POP까지”…무암, 과기부 장관 표창 수상
- 4경제 8단체 공동 입장…상법 ·노조법 개정안 우려 표명
- 5한경협, ‘기발한 초등 CEO교실’ 운영…"기업운영 체험"
- 6트러스톤운용 "태광산업 금융당국 진정서, 사실관계 심각히 왜곡"
- 7셀트리온, '美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 우선협상자 선정
- 8카텍에이치, KIST 기술사업화로 재생탄소섬유 해외수출 본격화
- 9휴넷, ‘포사이트 코리아 2026’서 테크·AI 사업전략 집중 조명
- 10SKT, 자체 언어모델 기반 문서 해석 기술 공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