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글로벌 D램 점유율 6분기 만에 최고치 기록

삼성전자의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이 6분기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디램익스체인지의 보고서에 따르면 올 2분기 전세계 D램 시장 매출액은 148억4,400만달러(약 17조9,600억원)로, 전분기(163억3,300만달러)보다 9.1% 줄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수요 감소와 가격 하락세가 이어진 데 따른 것이나 감소율은 전분기(-28.6%)보다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별로는 삼성전자가 67억8,300만달러로, 점유율 45.7%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전분기보다 매출이 2.7% 줄었으나 점유율은 오히려 3.0%포인트나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17년 4분기(46.0%) 이후 가장 높은 점유율이다. 지난해 4분기 41.3%까지 떨어졌으나 2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SK하이닉스가 전분기보다 12.6% 줄어든 42억6,100만달러의 매출을 올렸으며, 점유율은 1.2%포인트 하락한 28.7%를 기록했다. 미국 마이크론은 미중 무역전쟁 등의 영향으로 매출(30억4,100만달러)이 무려 19.1% 줄어들며 상위 업체들 가운데서는 가장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다. 점유율도 2.5%포인트나 하락한 20.5%에 그쳤다. 이밖에 대만 난야(4억달러)와 윈본드(1억4,900만달러)는 매출이 각각 8.4%와 0.1% 증가했으며, 파워칩(8,300만달러)은 15.3%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디램익스체인지는 올 3분기에도 글로벌 D램 시장의 매출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반도체 소재 수출을 둘러싼 한국과 일본의 갈등으로 7월 들어 D램 현물가격이 올랐지만 현물 시장의 규모가 워낙 작기 때문에 재고 조정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면서 “수요가 여전히 부진해 고정 계약 가격은 하락세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시장 상황이 어려울수록 기술력이 앞선 업체들이 진가를 발휘한다”면서 “이른바 ‘반도체 코리아 연합군’의 점유율이 꾸준히 70%를 상회하며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김혜영기자
| jjss1234567@sedaily.com |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글로벌 보안 기업 이반티, 통합 엔드포인트 관리 기능 강화
- 롯데칠성음료, 재생 플라스틱 '칠성사이다 500ml 페트병' 도입
- 한미약품 면역조절 항암 신약 HM16390, 글로벌 단독·병용 임상 순항
- 푸드테크 기업 넷, 고체형 토닉워터 ‘포켓토닉’으로 해외 진출
- KB국민카드, 겨울방학 맞이 해외호텔 예약 할인 진행
- 셀트리온,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아이덴젤트' 캐나다 허가
- 서울 노원구 디지털바이오시티 개발 본격화…더블역세권 ‘노원 스타파크리움’ 주목
- 바이킹랩, 韓 최초 히어로 ‘라이파이’ 생성형AI 기술로 부활
- 남원추어 미꾸야, 신제품 ‘남원추어 온추어탕’ 출시
- 크나우프 석고보드, 포항서 ‘희망의 집짓기' 활동 진행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의회, 5분 자유발언서 도시 시정 전방위 개선 촉구
- 2글로벌 보안 기업 이반티, 통합 엔드포인트 관리 기능 강화
- 32025 용담검무, 남원서 이틀간 전통·무예·예술의 장 열린다
- 4토스뱅크 3분기 누적 순익 814억…전년比 136.24% 증가
- 5롯데칠성음료, 재생 플라스틱 '칠성사이다 500ml 페트병' 도입
- 6부천시, 학교폭력 안전망 강화 ‘원팀’ 체제 구축
- 7오세현 아산시장, 진다례 통해 세대 존중과 화합 강조
- 8인천시, 이동형 홍보로 ‘안전한 도시’ 이미지 강화
- 9천안시, 밤이 머무는 도시 만든다
- 10당진시, ‘희망 2026 나눔 캠페인’ 출발…두 달간 집중 모금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