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루머]켐트로스, 日 독과점 핵심소재 PVDF 신공장 9월 완공…국내 상용화 착수
증권·금융
입력 2019-08-27 09:15:58
수정 2019-08-27 09:15:58
양한나 기자
0개
켐트로스가 일본 등 소수국가가 독과점하고 있는 2차전지 핵심소재 PVDF(폴리비니리덴포르라이드) 관련 신공장을 오는 9월 완공하고 본격 국내 상용화에 나서는 것으로 확인됐다. 켐트로스는 삼성, LG, SK, 현대차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다.
27일 켐트로스 관계자는 “지난 2017년 착공에 들어간 진천 3공장이 완공되는 대로 올해 초 기술이전 받은 PVDF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PVDF는 아직 국산화되지 않은 기술이며 국내 PVDF 연간 수입액은 1,000억원(4,000톤)으로 추정돼 상용화가 이뤄지면 수입 대체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3공장은 오는 9월 30일 완공될 예정이다.
켐트로스는 지난 3월 한국화학연구원으로부터 이차전지와 태양전지의 필수 소재로 쓰이는 ‘PVDF 제조공정기술’을 이전받았다. PVDF는 내후성과 내오염성 등이 우수해 전기차 이차전지 양극재, 태양전지 필름, 취수장 분리막 등 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는 불소수지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세계 최고 상용기술과 동등한 결과를 얻은 원료로부터 VDF를 생산하는 열분해 기술 등을 포함, PVDF를 만드는 고분자 제조공정을 모두 개발했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PVDF 제조공정기술을 확보하지 못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구레하, 프랑스 아케마, 벨기에 솔베이 등이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이들로부터 연간 약 1,000~2,000억 원을 수입한다.
켐트로스가 본격 상용화에 착수하는 PVDF가 적용되는 이차전지 양극재 사용량은 최근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용 양극재 사용량은 11만2,000t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0.9% 증가했다. 이에 국내 배터리 3사도 다양한 방법으로 공급 안정성 확보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인필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켐트로스는 10월부터 충북 진천에 신공장을 가동해 전해액 첨가제 생산량을 현재보다 2배 이상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구성진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켐트로스는 2018년 매출 440억 원을 냈는데 2019년에는 매출 600억 원, 영업이익 100억 원을 달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한나기자 one_sheep@sedaily.com
27일 켐트로스 관계자는 “지난 2017년 착공에 들어간 진천 3공장이 완공되는 대로 올해 초 기술이전 받은 PVDF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PVDF는 아직 국산화되지 않은 기술이며 국내 PVDF 연간 수입액은 1,000억원(4,000톤)으로 추정돼 상용화가 이뤄지면 수입 대체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3공장은 오는 9월 30일 완공될 예정이다.
켐트로스는 지난 3월 한국화학연구원으로부터 이차전지와 태양전지의 필수 소재로 쓰이는 ‘PVDF 제조공정기술’을 이전받았다. PVDF는 내후성과 내오염성 등이 우수해 전기차 이차전지 양극재, 태양전지 필름, 취수장 분리막 등 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는 불소수지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세계 최고 상용기술과 동등한 결과를 얻은 원료로부터 VDF를 생산하는 열분해 기술 등을 포함, PVDF를 만드는 고분자 제조공정을 모두 개발했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PVDF 제조공정기술을 확보하지 못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구레하, 프랑스 아케마, 벨기에 솔베이 등이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이들로부터 연간 약 1,000~2,000억 원을 수입한다.
켐트로스가 본격 상용화에 착수하는 PVDF가 적용되는 이차전지 양극재 사용량은 최근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용 양극재 사용량은 11만2,000t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0.9% 증가했다. 이에 국내 배터리 3사도 다양한 방법으로 공급 안정성 확보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인필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켐트로스는 10월부터 충북 진천에 신공장을 가동해 전해액 첨가제 생산량을 현재보다 2배 이상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구성진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켐트로스는 2018년 매출 440억 원을 냈는데 2019년에는 매출 600억 원, 영업이익 100억 원을 달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한나기자 one_shee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우리은행, ‘우리WON모바일 적금’ 출시…최고 연 7.0% 금리
- MDS테크, 애니데스크 국내 독점 총판 기념 첫 파트너 행사 성료
- 씨피시스템, 한국서부발전과 280m 장거리 케이블체인 추가 수주
- 케이뱅크, 1분기 당기순이익 161억원…전년比 70% 감소
- 신한라이프, 차세대 경영자 위한 ‘NSC 아카데미’ 성료
- 우리은행, 자립준비청년 지원 위해 3자 업무협약 체결
- KB금융, 금융권 최초 '에이전틱 AI' 기반 생성형 AI 플랫폼 오픈
- 현대카드, ‘톰 삭스 전’ 래플 패키지 티켓 출시
- iM증권, '내일출금 초단기채 펀드' 출시
- 키움증권, ‘사회초년생 자산 UP! 영상 공모전’ 시상식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맑음
2025-05-15(목) 00:00
맑음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조르다노, 서초 ‘래미안 원펜타스’ 단지에 원목마루 시공
- 2위로보틱스, 천안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 개소
- 3금호타이어 임직원, 자동차의 날 맞이 유공자 포상
- 4대한요양보호사협회-전진숙 의원, 정책간담회 개최
- 5광주보건대 사회복지학과, 개설 33주년 기념 '바비큐 party' 성료
- 6담양군, 채활용품 처리 '자원회수센터' 본격 가동
- 7'횡령·배임' 최신원 전 SK네트웍스 회장, 징역2년6월 대법 확정
- 8동성화인텍, 연 120톤 규모 소화약제 냉매 회수∙정제 설비 구축
- 9오영주 중기부 장관, 자동차 부품업계 방문...美 관세 해결방안 모색
- 10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故 노무현 대통령 서거 16주기 추모행사 진행
공지사항
더보기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
- 13:00주식 성공백서
생방송 박솔아 PD 고유림 MC
- 14:00마켓 쇼쇼쇼 1부
생방송 김호빈 PD 이지영 MC
- 15:00마켓 쇼쇼쇼 2부
생방송 박솔아 PD 이지영 MC
- 16:00최충성의 타점 스냅샷
생방송 최민호 PD 장은예 MC
- 17:00서울경제 뉴스5
생방송 유혜진 PD 김수현 MC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