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 초경량 원스텝 휴대용 유모차 출시
6kg대의 경량 무게, 오토폴딩과 언폴딩 모두 가능
신생아 배려, 휴대용 유모차임에도 트래블 시스템 활용할 수 있어

국내 대표 유아용품 전문기업 ㈜에이원의 브랜드 ‘조이(Joie)’가 오토폴딩은 물론 언폴딩(펼치기)까지 버튼없이 가능한 경량의 원스텝 휴대용 유모차 ‘투어리스트’를 국내에 출시한다.
투어리스트 출시를 기념해 에이원자사몰과 GS shop에서 일주일간
할인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와 함께 구매고객 전원에게 레인커버, 트래블백, 캐링스트랩과
런칭을 기념한 사은품방풍커버, 풋머프를 함께 증정할 예정이다.
해당 제품은 6kg대의 경량 무게로 컴팩트함도 유지하면서 원스텝을 통해 오토폴딩을 더욱 간편하도록 했을 뿐 아니라 언폴딩까지
버튼 없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트래블 시스템 또한
갖췄다. 해당 시스템은 신생아 카시트(인펀트카시트)잼과 호환해 차량 이동 시에는 카시트로, 외출 시에는 유모차로 사용할 수 있다. 신생아의 경추 특징인 C자형 커브 곡선을 안정감 있게 구현하고, 잠들어 있는 시간에 신생아를 깨우지 않고도 자동차와 유모차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밖에 다양한 편의 기능도 눈에 띈다. 트래블백과 캐링스트랩을 활용해 휴대와 이동이 용이하도록 했으며 핸들바 3단계 각도조절 기능을 통해 부모 키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등받이
각도 조절 또한 잠든 아이를 위해 175도까지 눕혀지는 침대 모드부터 주행 모드까지 멀티 마이크로 조절이
가능하며 발받침 또한 2단계 조절이 가능해 아이 성장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마케팅 담당자는 “새롭게 선보이는
투어리스트는 오는 2020년
휴대용 유모차의 기준이 될 새로운 모델로 오토폴딩과 언폴딩 모두 원스텝으로 가능해 엄마 혼자 아이와 외출했을 때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들어, 퍼스트 유모차로 바퀴가 작고 가벼운 절충형유모차를 찾는 고객에게 절충형의
안전성과 휴대용의 편리성을 모두 갖춘 제품인 투어리스트를
적극 추천드린다”며 “조이는 영국 프리미엄 토탈
유아용품 브랜드로 국내 1등을 자랑하는 카시트 외에도 뛰어난 품질의 품질의 유모차를 비롯한 다양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국내 소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세계 87개국에서 사랑 받고 있는 글로벌 브랜드 조이(Joie)는 연년생과
쌍둥이 유모차 조이 ‘듀오’를 비롯해, i-Size 회전형카시트 ‘아이스핀360’ 등 출시 제품마다 ‘국민 유아용품’으로 등극시키는 등 다양한 제품을 국내에 선보이며 토탈 유아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 뉴스룸 colum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난청, 세상과 소통이 끊기기 시작하는 신호”
- 무더위·열대야에 '온열질환' 증가세…야간에도 주의하세요
- 고대안산병원, 뇌종양 수술 1200례…"경기 서남부 뇌종양 치료 거점병원 역할"
- HK이노엔, 무설탕 숙취해소제 ‘컨디션 제로 스파클링’ CF 공개
- 대웅, 임직원 건강관리 맞춤 솔루션 ‘대웅 헬스케어’ 론칭
- 한림대의료원, 스마트도시협회와 업무협약 체결
- 걷기 운동 하는 비만 노인, 삶의 질 2배 이상 높다
- 로엔서지컬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 인도네시아서 첫 수술 성공
- 루닛의 AI 진단 솔루션 도입 병원 '1만 곳'… 90% 이상이 해외
- 관상동맥 막혔을 때…스텐트 vs 수술, 뭐가 더 낫나요?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골다공증 약물 투여 중단 길수록…‘턱뼈 괴사’ 발생 위험 감소
- 2"휴마시스에 127억 지급" 판결에…셀트리온, 항소 의사 밝혀
- 3삼양식품, 中 첫 해외공장 착공…“현지 생산 본격화”
- 4에너지공단 “온도주의 실천으로 에너지 절약해요”
- 5이주비 대출도 6억 제한…건설사 재무 부담 ‘직격탄’
- 6이지스운용, 매각 난항…홈플러스 부실 등 부담
- 7국내서 외면 받는 ‘푸조’…하이브리드로 소비자 발길 돌릴까
- 8이마트24, 해외사업 ‘글쎄’…속도·성과 ‘미지수’
- 9‘경영권 없는’ NXC 지분 매각 본격화…4.7兆에 팔릴까
- 10현대해상, 신용도 '흔들'…수익성·건전성 이중 부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