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알피앤이, IMO 2020 시행 ‘초읽기’…바이오 선박유 수출 확대 기대감↑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국제해사기구(IMO)의 황산화물(Sox) 배출 규제(IMO2020 Global Sulfur Limit) 시행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IMO2020 규제는 내년 1월 1일부터 선박 연료의 황 함유량 상한선을 기존 3.5%에서 0.5%로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에 따라 해운사들은 황 함유량이 낮은 저유황유를 사용하거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탈황장치(스크러버)를 선박에 설치해야 한다. 해운사들은 설치하는데 선박 1대당 약 70억원의 비용이 드는 스크러버 대신 저황유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 상황으로 국내 정유사들의 공급 확대가 기대된다.
현대오일뱅크, SK에너지 등 대형 정유사들은 강화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선박유 내에 황을 제거해 저유황선박유(LSFO, Low Sulfur Fuel Oil)를 생산, 판매한다는 입장이다. 정유업계뿐 아니라 바이오 연료유 제조업계도 글로벌Top 선박회사들이 연이어 바이오연료를 선박유로 사용하는 실증테스트를 완료했다는 소식에 반색하는 분위기다.
관련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중유나 바이오디젤은 그 수요가 국내 공급에 한정돼 있어 사업확대나 실적 성장에 제한이 있었다”며 “이번 IMO2020 규제 강화로 국제 선박유 시장에 수출 기회가 열리게 되면서 앞으로의 사업 추진 시너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바이오에너지인터내셔널 보도에 따르면, 이미 지난 6월 글로벌 1위인 머스크(Maersk) 해운이 연료에 바이오 선박유를 20% 혼합해 네덜란드 로테르담(Rotterdam, Netherlands)과 중국 상하이(Shanghai, China) 구간에서 사용하는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청정에너지 전문 매체인 리뉴어블에너지(Renewable Energy Magazine)에 의하면, 글로벌 2위 선사인 MSC(Mediterranean Shipping Company)도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바이오 선박유 30% 혼합 사용을 공식화 했다. 3위 CMA-CGM 해운도 지난 9월에서 10월경 북유럽~아시아 항로를 운항하는 선박에 바이오 선박유 사용을 실증하는 테스트를 완료했다.
국내에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주요 업체는 SK케미칼과 제이씨케이칼, 단석산업, GS바이오, 애경유화 등 이 있으며, 바이오중유를 생산하는 주요 업체는 바이오디젤 제조업체들을 포함해 케이알피앤이, KG ETS 등이 있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회장 임기 채워라" "배당 과도"...이복현이 부른 금감원장 영역 논란
- 월가 몰려간 서학개미 잡아라…증권가, 해외 주식 세미나 잇따라
- 현대해상, 작년 순익 1조307억원 '역대 최대'…전년比 33.4%↑
- 한화손보, 작년 순이익 3823억…전년 대비 31.5%↑
- [부고]최철규(저축은행중앙회 경영지원부장)씨 부친상
-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2조원대 '최대 규모' 해킹…"北 소행"
- 2금융 가계빚 7조원 폭증…풍선효과 '경고음'
-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소각"…기업이 주주에게 돌려드립니다
- 호실적 행진에도 킥스 ‘발목’…보험사 자본확충 부담↑
-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엔터·화장품·여행株 다 올랐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회장 임기 채워라" "배당 과도"...이복현이 부른 금감원장 영역 논란
- 2월가 몰려간 서학개미 잡아라…증권가, 해외 주식 세미나 잇따라
- 3美 공장 건설이 답일까…셈법 복잡해진 국내 철강업계
- 4"이번엔 팔릴까"…'몸값 4조' SK해운, HMM 우선협상자 선정
- 5현대해상, 작년 순익 1조307억원 '역대 최대'…전년比 33.4%↑
- 6한화손보, 작년 순이익 3823억…전년 대비 31.5%↑
- 7최철규(저축은행중앙회 경영지원부장)씨 부친상
- 8강기정 시장, 주한 일본대사와 우호협력 논의
- 9광주 서구의회 임성화 의원, ‘청소년 복합체육시설’조성 제안
- 10함평군‧전남도‧(주)동우, 67억원 규모 투자협약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