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車 생산 ‘400만대’ 붕괴…내년 ‘개선’ 전망

[앵커]
올해 국내 자동차 생산량이 내수와 수출 부진으로 ‘400만대’ 를 밑돌 것으로 보입니다. 자동차 생산량이 400만대 아래로 떨어진 건 2009년 이후 10년 만인데요. 하지만 내년에는 신차 확대와 정책 지원으로 질적 성장을 이룰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정새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올해 국내 자동차 생산량 ‘400만대’가 붕괴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생산량 400만대는 부품과 제조업체 등 산업 생태계가 유지되는 마지노선으로 꼽힙니다.
지난달까지 국내 자동차 생산은 361만3,077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6%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추세라면 올해 총 생산은 약 390만대에 그치며 2009년 이후 10년 만에 400만대 아래로 떨어지게 됩니다.
원인으로는 노사갈등과 신차 부족이 꼽힙니다.
현대기아차는 팰리세이드와 셀토스 등의 신차가 견조한 생산체제를 유지했지만, 한국GM과 쌍용차, 르노삼성은 노사갈등과 신차부족으로 위축됐다는 설명입니다.
반면 2020년 국내 자동차 업계는 ‘실적개선’을 이룰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합니다.
내수 신차가 내년 12종까지 확대되는 데다, 10년 이상 노후차 교체지원 정책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인터뷰] 이호근 / 대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현대자동차 노조위원장이 세대교체가 이뤄졌기 때문에 강렬하고 극성적인 노사갈등은 잦아들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특히) 회사의 수익을 살려주는 건 고급모델이거든요. 올해보다는 조금 더 긍정적으로 수익성이 좋아지지 않을까…”
이를 위해 업계에서는 현재 매년 진행되는 노사협상을 3~4년 단위로 늘리는 등 국회와 정부의 규제개혁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서울경제TV 정새미입니다. / jam@sedaily.com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발란, 결국 법정관리…미정산 대금 130억 불투명
- 보험 수수료 공개가 생존 위협?…소비자 “환영”
- 신영證 등 증권사 연대, ‘홈플러스’ 형사고소…MBK는?
- 대우건설 김보현, 재도약 다짐…‘사망자 최다’ 오명 씻을까
- “中企 판로확대 돕는다면서”…‘T커머스 허가’ 하세월
- 코웨이 ‘집중투표제’ 도입 불발…행동주의 펀드 완패
- 공정위 승인 지연에…대명소노, 티웨이 장악 ‘무산’
- 무신사, 지난해 매출 첫 1조 돌파…영업이익 흑자전환
- 야놀자, 지난해 영업이익 492억…전년比 1782%↑
- 두산건설, 작년 영업익 1000억 돌파…"10년만 최대 실적"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발란, 결국 법정관리…미정산 대금 130억 불투명
- 2보험 수수료 공개가 생존 위협?…소비자 “환영”
- 3신영證 등 증권사 연대, ‘홈플러스’ 형사고소…MBK는?
- 4대우건설 김보현, 재도약 다짐…‘사망자 최다’ 오명 씻을까
- 5“中企 판로확대 돕는다면서”…‘T커머스 허가’ 하세월
- 6‘소호 1강 독주’ 4인뱅 인가전…6월 결과 나온다
- 7코웨이 ‘집중투표제’ 도입 불발…행동주의 펀드 완패
- 8‘블랙 먼데이’ 공매도 재개 첫날 코스피 3% 급락
- 9공정위 승인 지연에…대명소노, 티웨이 장악 ‘무산’
- 10무신사, 지난해 매출 첫 1조 돌파…영업이익 흑자전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