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재건축’ 가로주택…강남·강북 곳곳 추진

[앵커]
땅이 부족한 서울은 새 아파트 공급을 정비사업에 의존하다 보니까 관심이 자꾸 쏠릴 수밖에 없습니다. 지금까지 얘기한 재건축, 재개발 말고 가로주택정비사업이 주목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부동산팀 이아라기자가 준비한 레포트 보고 얘기 나눠가겠습니다.
[기자]
소규모 노후 저층 주거지를 대상으로 하는 가로주택 정비사업.
현재 서울에서만 90여 곳이 추진 중입니다.
가로주택이란 폭이 6m이상인 도로로 둘러싸인 면적 1만㎡ 미만의 단독·공동주택 등을 말합니다.
대규모 철거 없이 기반시설은 유지하면서 노후 주택을 허물고 다시 짓는 구조입니다.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평균 10년가량이 걸리지만, 가로주택사업은 2~3년으로 사업 기간이 짧습니다.
‘미니 재건축’으로 불리는 가로주택사업은 정부도 가장 공들이고 있는 사업.
12·16 부동산 대책에도 ‘주택 공급 방안’ 중 하나로 포함됐습니다.
[싱크] 홍남기/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12· 16 대책 발표 당시)
“서울의 가로주택 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해 공공성 요건 충족 시에는 사업 시행 면적을 지금의 1만 제곱미터에서 2만 제곱미터로 확대하고 분양가 상한제 적용도 제외하도록 하겠습니다.”
공급 가구 수도 기존 250가구에서 500가구로 늘었습니다.
10%를 공공임대로 채우면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도 받지 않습니다.
대형 건설사들도 가로주택사업에 주목하는 이유입니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대구에 태평 상가 사업장을 수주했고, 성북구 장위 11-2구역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뽑혔습니다.
GS건설도 자회사 자이S&D를 통해 서초동 소재 낙원청광연립 사업장의 4월 착공을 앞두고 있습니다.
대림산업도 가로주택사업 참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경제TV 이아라입니다. /ara@sedaily.com
[영상편집 김준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SKT, 고객 잡아라…'스타벅스·파리바게뜨' 릴레이 할인
- 폭염에 장바구니 물가 비상…정부, 배추·과일 등 물가 관리 총력
- 의대생 1년 반 만에 복귀…의사·교수단체 "존중과 지원 필요"
- 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 가장 많이 늘어난 구간은 '26억 이상'
- 쿠팡 로켓배송,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 성장 이끌어
- 포스코, 사우디 아람코 플랜트에 HIC 강재 첫 납품
- 대우건설, 천호동 532-2 일대 재개발사업 시공사로 선정
- 수도권·지방 격차 확대…전셋값 양극화 심화
- 상반기 LCC 국제선 탑승객, 대형항공사 3년 연속 추월
- LG유플러스, 한전과 맞손…1인가구 돌봄사업 지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동물병원 네트워크 '코벳', 반려동물 사료·용품 배송 서비스 'Vet2Home' 시작
- 2SKT, 고객 잡아라…'스타벅스·파리바게뜨' 릴레이 할인
- 3하이원리조트 여자오픈 2025, 방신실 최종 우승
- 4폭염에 장바구니 물가 비상…정부, 배추·과일 등 물가 관리 총력
- 5의대생 1년 반 만에 복귀…의사·교수단체 "존중과 지원 필요"
- 6대표이사부터 바꾸는 코스닥 M&A…자금조달 차질에 '혼선'
- 7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돌파…3개월 새 2배 급증
- 8수성구 파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한국마사회 대구지사, 지역 주민 복지 증진 위한 업무협약
- 9김한종 장성군수, 11개 읍·면 순회 '이장과의 소통 간담회' 진행
- 10장성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스미싱' 경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