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마감시황]코스피, 외국인·기관 동반 매수에 사흘째 상승…FOMC 대기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투자자의 쌍끌이 매수에 힘입어 사흘 연속 상승 마감했다. 지난 3월 10일(1,962.93p) 이후 약 한달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스피 지수는 29일 전일 대비 13.47포인트(0.70%) 오른 1947.56에 종료됐다. 개인 홀로 4,835억원을 순매도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330억원과 2,503억원을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증권(6.08%), 종이목재(4.35%), 철강금속(2.90%) 등이 오른 반면 섬유의복(-1.02%), 보험(-0.37%), 의약품(-0.30%) 등이 내렸다. SK하이닉스(0.36%)와 셀트리온(0.72%), LG화학(3.86%) 등이 상승한 가운데 삼성전자(-0.20%)와 삼성바이오로직스(-1.19%), NAVER(-0.25%) 등이 내렸다. 주가가 오른 종목은 570개였고 내린 종목은 272개였다. 보합은 53개 종목이다. 유진투자증권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하한가 종목은 없었다.
코스닥 지수는 0.25포인트(0.04%) 상승한 645.18에 장을 마감했다. 개인 홀로 610억원을 순매수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23억원과 383억원을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종이·목재(1.92%), 비금속(1.79%), 반도체(1.49%) 등이 오른 반면 컴퓨터서비스(-2.31%), 인터넷(-2.02%), 소프트웨어(-1.49%) 등이 내렸다. CJ ENM(2.81%)과 씨젠(0.11%)을 제외하고 셀트리온헬스케어(-0.12%)와 에이치엘비(-0.41%), 셀트리온제약(-1.12%) 등 대부분이 내림세를 나타냈다. 주가가 오른 종목은 691개였고 내린 종목은 545개였다. 보합은 83개 종목이다. 엔시트론과 알로이스, 자안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한솔인티큐브가 하한가를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은 소폭 상승 마감했다. 2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7.00원(0.57%) 내린 1,218.20원에 거래를 마쳤다.
노동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대규모 인프라 투자 가능성과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의 양호한 실적 발표 및 전망, 3월 국내 산업생산( -0.3%)이 예상보다 양호한 점 등이 코스피 상승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한편 30일 오전 3시(국내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를 발표한다. 기준금리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시장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에 주목할 전망이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NH농협은행, 영국 런던지점 개점식 개최…"글로벌 IB 도약 요충지"
- 부실 코스닥社, 주주배정 증자 잇따라…'개미 무덤' 될라
- 은행권, 아시아 넘어 유럽으로…글로벌 사업 확대 박차
- '가교보험사' 예별손보 출범…계약이전·매각 동시 추진
- 새내기 조선株 두 곳, 상장 한달 안팎 나란히 '공모가 상회'
- 10대 증권사 '해외주식 수수료 수익' 1조원 육박…전년비 60%↑
- 증권사, 상반기 해외주식 수수료 1조 육박
- 은행 부실채권 규모 고공행진 지속…NPL 시장 활황
- 카카오페이, 보험 적자·오버행 리스크 ‘이중고’
- IBK기업은행, 소상공인 위기극복 지원…7.5조원 규모 특별지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5년 앞으로 다가온 오사카 카지노, 강원랜드의 생존 전략은?
- 2포항시, 동방경제포럼서 영일만항 북극항로 대응 전략 모색
- 3포항시, 경북 무형유산대전서 우수 전통문화 가치 전해
- 4포항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금융지원 본격화
- 52025 영천문화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시민 화합 무대
- 6경주지역자활센터, 보건복지부 평가 ‘우수기관’선정
- 7경주시, ‘월드음식점 150곳’ 선정…APEC 손님맞이 준비 박차
- 8경주시민 10명 중 8명 “시정 만족”…민선 8기 3주년 성과 확인
- 9김천시새마을회, 2025 새마을 환경 페스타 성황리 개최
- 10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