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미끄러진 틈타…서울 9년만에 '금융중심지 잠재성' 추월

[서울경제TV=문다애 기자] 서울이 향후 금융허브(중심지) 부상 잠재성 평가에서 9년 만에 홍콩을 앞질렀다.
23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서울은 최근 영국계 컨설팅그룹 지옌(Z/YEN)이 발표한 국제금융센터지수(GFCI) 27차 보고서의 각 도시 잠재성 평가에서 15개 도시 중 5위에 올랐다. 이는 홍콩(9위)보다 4단계 앞선 것으로, 이 평가에서 서울이 홍콩을 제친 것은 2011년 9월 이후 처음이다. 일반 평가에서는 서울이 33위, 홍콩이 6위였다.
GFCI는 세계 주요 도시의 국제금융 경쟁력을 측정하는 지수다. 비즈니스 환경과 인적 자원, 인프라, 금융산업 발전 등을 정성·정량 방식으로 종합 평가한다. 잠재성 평가는 향후 2∼3년 안에 금융중심지로서 더 중요성이 커질 각국의 도시를 뽑는다.
서울은 2011년 9월에 나온 10차 보고서에서는 총 10개 도시 중 1위를 차지했다. 당시 홍콩은 4위였다. 이후 서울은 26차 보고서가 나오기까지 6차례 순위권 밖으로 벗어나는 등 매번 홍콩에 밀렸다.
이번에 서울이 홍콩을 역전한 데는 미·중 갈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처리 강행에 대응해 미국이 홍콩에 부여한 특별대우 철폐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향후 홍콩의 금융허브 기능이 무너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대중 보복 조치가 한국에는 금융허브로서 기능을 강화할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향후 수년 내 주요 금융허브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하는 도시의 순위에서 서울이 홍콩을 추월했다"며 "채권시장의 경우 주식·외환시장과 달리 홍콩보다 규모가 더 크고 투자자 수요도 많아 경쟁 우위를 점할 여지가 큰 편"이라고 덧붙였다.
국제금융센터는 한국이 중장기적으로 다른 경쟁국에 뒤처진 금융허브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경제금융 특구 육성 등 선택과 집중 전략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dalov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제네시스, '엑스 그란 이퀘이터 콘셉트' 세계 최초 공개
- “韓 시장 뺏길라”…테슬라, 모델Y ‘이례적’ 가격 인하
- ‘1兆’ 용산정비창 수주전…잇단 사고에 포스코이앤씨 ‘빨간불’
- “최신폰이 구형만 못해”…삼성, 갤S25 역차별 ‘논란’
- 서경배 ‘중국몽’ 끝나나…아모레, 中공장 ‘셧다운’ 수준
- 해운업계, 관세·탄소세 ‘이중고’…HMM엔 호재?
- 엔씨, 보릿고개 언제까지…1분기 실적도 ‘우울’
- 금호타이어, 초고성능 브랜드 ‘엑스타’ 신제품 선봬
- 이지텍, ‘무해체 보 데크플레이트’로 건설 시장 혁신 이끈다
- 위드위, 초분광 AI로 폐플라스틱 선별 효율 높인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국립순천대, 이병운 총장 취임 2주년 '지역과 동반 성장' 기틀 마련해
- 2남원시 공직자, 산불 피해 지자체에 1,900여만 원 성금 전달
- 3남원시, '챗 GPT프롬프트 활용 세미나' 신청자 모집
- 4남원시의회 경제농정위, “국가예산 확보 통해 민생 회복 집중해야”
- 5국립민속국악원, 박수범의 '박봉술제 적벽가' 완창무대 개최
- 6남원시의회 자치행정위, 국가예산 확보 총력 당부
- 7서부지방산림청, 국유림 대부지 실태조사 추진
- 8고창군, ‘고창멜론·청보리밭축제’ 韓 대표브랜드 대상 2관왕
- 9방카슈랑스 ‘25%룰’ 20년만 손질…33~75% 완화
- 10경과원, 대학재정지원 패러다임 대전환 善導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