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미끄러진 틈타…서울 9년만에 '금융중심지 잠재성' 추월

[서울경제TV=문다애 기자] 서울이 향후 금융허브(중심지) 부상 잠재성 평가에서 9년 만에 홍콩을 앞질렀다.
23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서울은 최근 영국계 컨설팅그룹 지옌(Z/YEN)이 발표한 국제금융센터지수(GFCI) 27차 보고서의 각 도시 잠재성 평가에서 15개 도시 중 5위에 올랐다. 이는 홍콩(9위)보다 4단계 앞선 것으로, 이 평가에서 서울이 홍콩을 제친 것은 2011년 9월 이후 처음이다. 일반 평가에서는 서울이 33위, 홍콩이 6위였다.
GFCI는 세계 주요 도시의 국제금융 경쟁력을 측정하는 지수다. 비즈니스 환경과 인적 자원, 인프라, 금융산업 발전 등을 정성·정량 방식으로 종합 평가한다. 잠재성 평가는 향후 2∼3년 안에 금융중심지로서 더 중요성이 커질 각국의 도시를 뽑는다.
서울은 2011년 9월에 나온 10차 보고서에서는 총 10개 도시 중 1위를 차지했다. 당시 홍콩은 4위였다. 이후 서울은 26차 보고서가 나오기까지 6차례 순위권 밖으로 벗어나는 등 매번 홍콩에 밀렸다.
이번에 서울이 홍콩을 역전한 데는 미·중 갈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처리 강행에 대응해 미국이 홍콩에 부여한 특별대우 철폐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향후 홍콩의 금융허브 기능이 무너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대중 보복 조치가 한국에는 금융허브로서 기능을 강화할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향후 수년 내 주요 금융허브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하는 도시의 순위에서 서울이 홍콩을 추월했다"며 "채권시장의 경우 주식·외환시장과 달리 홍콩보다 규모가 더 크고 투자자 수요도 많아 경쟁 우위를 점할 여지가 큰 편"이라고 덧붙였다.
국제금융센터는 한국이 중장기적으로 다른 경쟁국에 뒤처진 금융허브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경제금융 특구 육성 등 선택과 집중 전략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dalov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T&G, 3분기 영업익 4653억…전년比 11.4%↑
- CJ CGV, 3분기 영업익 233억…전년比 27.2%↓
- 아모레퍼시픽 그룹, 3분기 영업익 1043억…전년比 41%↑
- BGF리테일, 3분기 영업익 977억…전년比 7.1%↑
- 한국앤컴퍼니그룹, 글로벌 車부품 전시회 공동 참가
- CJ프레시웨이, 3분기 영업익 336억…전년比 19%↑
- 건설업계, CEO 인사 칼바람?…“교체보다 안정”
- 하이트진로, 성장 제동…국내도 해외도 ‘막막’
- 게임업계, 연쇄 구조조정…“대작 개발 방식 재검토”
- 현대차 무뇨스 “올해 위기 대응력 증명”…‘수익성 강화’ 주력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기장군, 고리원전 사고 대비 방사능방재 집중훈련 실시
- 2인천국제디자인페어, AI와 ‘사람 중심 디자인’ 조명
- 3‘게임체인저’ 선언 이후…경기북부 규제완화 속도전
- 4영남이공대, 지역연계 신산업 진로체험 프로그램 성과평가회 개최
- 5영덕군, 2026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공모 선정
- 6영덕군, 2025·26 산불 감시원 발대식 개최
- 7영덕군, 영덕도예문화체험장 본격 개장
- 8계명문화대, 우즈베키스탄 KOICA 직업훈련원과 직업교육 협력 강화
- 9영남대, ‘국내 TOP5’ 연구력 입증…라이덴랭킹 2년 연속 쾌거
- 10iM뱅크(아이엠뱅크), 2025 을지연습 평가결과 ‘최우수 기관’ 선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