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행세일 통했다…유통업계, '포스트 코로나' 매출증가율 최대

[서울경제TV=문다애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고전하던 유통업계가 지난 주말 '대한민국 동행세일' 효과를 톡톡히 봤다. 동행세일이 시작한 첫 주말 소비자들이 몰리며 매출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대 규모의 매출 증가를 보여 내수 진작을 위한 동행세일이 효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동행세일 첫 주말인 26∼28일 롯데백화점의 매출은 전년 세일기간과 비교해 16%, 신세계백화점은 20.9%, 현대백화점은 15.2% 늘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대 수준의 매출 증가율이다. 롯데쇼핑의 교외형 아웃렛 6곳도 사람이 몰리면서 매출이 40% 급증했다. 특히 재고 면세품의 국내 판매가 허용되고 면세점 이용 수요가 백화점으로 이동하며 백화점의 명품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오프라인 재고 면세품 판매를 개시한 롯데백화점과 롯데아울렛은 해외명품 매출은 각각 78%, 98% 늘었고, 신세계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의 명품 매출도 각각 55.3%, 37.2% 상승했다.
패션업계 지원을 위한 '코리아 패션마켓' 덕에 패션 상품군 매출도 호조를 보였다. 롯데백화점 골프·아웃도어 상품군과 스포츠 상품군 매출은 각각 25%, 18% 늘었고 현대백화점도 골프·아웃도어 부문 매출이 30.1% 증가했다. 무더위에 냉방가전 매출도 상승세를 기록했다. 신세계백화점 가전 매출은 123.7% 급증했으며 롯데 아웃렛 6곳의 생활가전도 49% 증가했다.
대형마트도 동행세일 하루 전부터 시작한 할인 행사 영향 등으로 매출 상승 효과를 봤다. 다만 지난 28일 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 등 대형마트 3사의 전체 418개 점포의 78%인 328곳이 의무휴업으로 문을 닫아 백화점 만큼의 신장세를 보이진 못했다.
롯데마트는 동행세일을 시작한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매출이 전주 대비 7.2% 신장했다. 과일과 채소, 축산 상품군이 각 6.4%, 3.3%, 13.6% 신장했다. 이마트의 경우 26~28일 와인(32.9%)과 맥주(17.1%) 등 주류 매출이 15.7% 늘었고, 과자 매출은 10.4% 증가했다./dalov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씨어스테크놀로지, 몽골서 환자 모니터링 서비스 실증 돌입
- LG 구광모, 인도 이어 인니로…‘글로벌 사우스’ 공략
- “디자인 창업 키운다”…‘서울디자인창업센터’ 킥오프
- “새 정부 기다렸는데”…규제에 발목 잡힌 건설사
- ‘한앤코 1년’ 남양유업…“이사회 독립성·다양성 미흡”
- 아우디코리아, A5·Q5 신차 공세…반등 신호탄 쏘나
- KAI 사장 잔혹사…정권 따라 교체? 낙하산 인사?
- [이슈플러스] “AI시대 공조시장 잡아라”…삼성·LG ‘승부수’
- KT, NH농협은행 ‘차세대 컨택센터 구축’ 사업 수주
- 한전 "홈페이지, 고객 중심으로 전면 새단장 오픈"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고창군, ‘유일’ 출산·유아용품 전문판매점 ‘고창아이랑’ 개원
- 2씨어스테크놀로지, 몽골서 환자 모니터링 서비스 실증 돌입
- 3안양시'혹서기 취약계층 쿨매트 지원'
- 4“신약개발 선도 연구자 발굴”…제5회 임성기연구자상 공모
- 5LG 구광모, 인도 이어 인니로…‘글로벌 사우스’ 공략
- 6“디자인 창업 키운다”…‘서울디자인창업센터’ 킥오프
- 7한화투자證, 비상장사 투자로 IB 활로 모색
- 8생보 몸집 키우는 우리금융…농협 제치고 5위로
- 9“새 정부 기다렸는데”…규제에 발목 잡힌 건설사
- 10양대 시력교정술…‘스마일라식 vs 렌즈삽입수술’ 만족도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