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행세일 통했다…유통업계, '포스트 코로나' 매출증가율 최대

[서울경제TV=문다애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고전하던 유통업계가 지난 주말 '대한민국 동행세일' 효과를 톡톡히 봤다. 동행세일이 시작한 첫 주말 소비자들이 몰리며 매출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대 규모의 매출 증가를 보여 내수 진작을 위한 동행세일이 효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동행세일 첫 주말인 26∼28일 롯데백화점의 매출은 전년 세일기간과 비교해 16%, 신세계백화점은 20.9%, 현대백화점은 15.2% 늘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대 수준의 매출 증가율이다. 롯데쇼핑의 교외형 아웃렛 6곳도 사람이 몰리면서 매출이 40% 급증했다. 특히 재고 면세품의 국내 판매가 허용되고 면세점 이용 수요가 백화점으로 이동하며 백화점의 명품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오프라인 재고 면세품 판매를 개시한 롯데백화점과 롯데아울렛은 해외명품 매출은 각각 78%, 98% 늘었고, 신세계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의 명품 매출도 각각 55.3%, 37.2% 상승했다.
패션업계 지원을 위한 '코리아 패션마켓' 덕에 패션 상품군 매출도 호조를 보였다. 롯데백화점 골프·아웃도어 상품군과 스포츠 상품군 매출은 각각 25%, 18% 늘었고 현대백화점도 골프·아웃도어 부문 매출이 30.1% 증가했다. 무더위에 냉방가전 매출도 상승세를 기록했다. 신세계백화점 가전 매출은 123.7% 급증했으며 롯데 아웃렛 6곳의 생활가전도 49% 증가했다.
대형마트도 동행세일 하루 전부터 시작한 할인 행사 영향 등으로 매출 상승 효과를 봤다. 다만 지난 28일 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 등 대형마트 3사의 전체 418개 점포의 78%인 328곳이 의무휴업으로 문을 닫아 백화점 만큼의 신장세를 보이진 못했다.
롯데마트는 동행세일을 시작한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매출이 전주 대비 7.2% 신장했다. 과일과 채소, 축산 상품군이 각 6.4%, 3.3%, 13.6% 신장했다. 이마트의 경우 26~28일 와인(32.9%)과 맥주(17.1%) 등 주류 매출이 15.7% 늘었고, 과자 매출은 10.4% 증가했다./dalov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슬세권’ 아파트 제일건설 ‘양주역 제일풍경채 위너스카이’ 관심
- 중기부, 중소기업 스마트서비스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 하나증권"재영솔루텍, 스마트폰 카메라 고급화 수혜…역대급 실적"
- 삼성·LG전자, 에어컨 생산라인 '풀가동'…역대급 폭염 대비
- 현대모비스, 주요 車부품에 친환경 알루미늄 쓴다
- 지쿱, ‘케어셀라 아이 퍼프 크림’ 출시
- 셀트리온 "불확실성 최소화·주주가치 제고 나설 것"
- LG전자, 싱가포르 초대형 물류센터에 고효율 HVAC 공급
- 방사청, 美 방산기업 안두릴과 첨단 무인전투체계 공동개발 협력
- KT, 모바일 요금제 '정액 할인' 신설…"1인 가구 혜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