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제동…당국 TF 꾸려 규제 착수
금융·증권
입력 2025-08-02 08:00:06
수정 2025-08-02 08:00:06
김도하 기자
0개

업비트와 빗썸은 이달 초부터 각각 코인 대여 서비스를 선보였다. 업비트는 비트코인·리플·테더 3종에 대해 담보 가치의 최대 80%를, 빗썸은 비트코인·이더리움 등 10종을 대상으로 담보의 최대 4배까지 빌릴 수 있도록 했다. 서비스 명칭은 '코인빌리기'와 '렌딩'이지만, 실제로는 빌린 코인을 팔았다가 가격이 하락하면 다시 사서 상환하는 구조로 주식시장의 공매도 방식과 유사하다.
특히 빗썸의 4배 레버리지가 논란이 됐다. 국내 주식시장에서 레버리지는 최대 2배까지만 허용되지만, 가상자산 시장에는 관련 규제가 없어 위험이 두 배 이상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부 중소형 거래소들도 유사 상품을 준비하고 있어 확산 우려도 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25일 5개 가상자산거래소 임원을 소집해 투자자 보호 장치 부족과 법적 공백을 경고했고, 업비트는 3일 후인 28일부터 테더 대여를 중단했다. 빗썸도 29일부터 기존 2·3배 렌딩 서비스를 모두 종료하고 코인 대여 서비스로 일원화했지만, 현재 신규 대여 접수는 중단된 상태다.
금융당국은 지난달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첫 회의를 열고 '가상자산 대여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 위한 TF를 구성했다. 금융연구원과 디지털자산거래소공동협의체(DAXA), 5개 주요 거래소 등이 참여했으며, 이용자 보호 기준을 담은 가이드라인을 8월 중 마련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가상자산은 법적으로 자산으로 인정되지 않아 대부업 규제 적용이 어려운 상태"라며 "규제 공백 속에 공매도 성격의 상품이 빠르게 퍼지면 투자자 손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itsdoha.k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가을 하늘 공활한데"…항공 3사, 가을 여행 특가 눈길
- 부실 코스닥社, 주주배정 증자 잇따라…'개미 무덤' 될라
- 은행권, 아시아 넘어 유럽으로…글로벌 사업 확대 박차
- 태어나자마자 재산 1억?…"0세 금수저 734명"
- 삼성, ‘실속형 AI폰’ 갤럭시 S25 FE 공개...하반기 스마트폰 대전
- 녹색에 빠진 유통업계…'말차 열풍' 속 디저트 행렬
- '가교보험사' 예별손보 출범…계약이전·매각 동시 추진
- 새내기 조선株 두 곳, 상장 한달 안팎 나란히 '공모가 상회'
- 10대 증권사 '해외주식 수수료 수익' 1조원 육박…전년비 60%↑
- 롯데면세점, 김포공항점에 '손바닥 정맥' 결제 시스템 도입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해운대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지역 다문화가족들과 걷기대회 ‘성료’
- 2김병환 금융위원장 조용한 퇴임…"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
- 3인천시, 생계형 체납자에 ‘맞춤형 지원’ 펼쳐
- 4파주시, 공공도서관에...‘리박스쿨’ 도서 퇴출 결정
- 5북수원테크노밸리, "AI가 열어가는 자족형 15분 도시로"
- 6김정헌 중구청장 “제물포구 성공, 주민 화합이 답”
- 7동두천시, ‘환경·안전 도시’로 재도약 밑그림
- 8의정부시, 보훈단체별 간담회… “현장 목소리 정책에 담는다”
- 9'이상지질혈증 패싱'은 언제까지…고혈압·당뇨처럼 제도적 지원을
- 10나노실리칸 "신사업 추진 이상無…IR 통해 성과 공개 예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