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피엠테크 자회사, 산자부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에 선정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케이피엠테크 관계회사 BTL첨단소재가 핵심기술을 인정받아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의 연구개발 프로그램에 선정돼 정부 지원을 받는다.
BTL첨단소재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년도 전략기술형 국제공동R&D’ 프로그램에 선정돼 1일 열린 발족식에 비대면 참석했다고 2일 밝혔다. 행사에는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석영철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원장, 프로그램 수행기관 대표 등이 참석했다.
전략기술형 국제공동R&D 프로그램은 해외 글로벌 기업의 수요가 있는 국내 기업의 국제공동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BTL첨단소재는 ‘곡률 특성이 우수한 플렉시블 배터리용 멀티레이어 필름(Multi-Layer Film) 개발’ 과제가 지원 대상으로 뽑혔다.
이번 국책과제 선정으로 BTL첨단소재는 3년간 총 30억원의 정부출연금을 받게 됐다. KIAT는 2차전지 외장재 소재분야는 일본이 주도하고 있어 기술격차가 심한 품목 중 하나로, BTL첨단소재의 기술개발이 글로벌 수요와 부합하며 상용화 및 사업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BTL첨단소재는 2차전지의 핵심소재 중 하나인 알루미늄(AI) 파우치 필름을 개발해 국산화한 업체다. 현재 화성시 공장 2개 호기에서 고성능, 고품질 파우치 필름을 생산해 판매 중이다. 코스닥 상장사 케이피엠테크가 지분 32.5%를 보유해 최대주주로 있다.
AI 파우치 필름은 일본으로부터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품목으로 일본 디엔피(DNP) 및 쇼와덴코(Showa Denko)가 세계 시장을 과점 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원(KISTI)에 따르면 지난해 2차전지용 파우치 필름 세계시장은 1조 2,674억원 규모다.
파우치 필름의 수급불균형으로 납품 시간이 길어지고 가격까지 상승하고 있어 2차전지 제조업체들은 원자재 수급 다변화에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BTL첨단소재는 고객이 요구하는 핵심품질(내전해액성·고온안정성)을 만족시켜 이미 국내외 10여개 사에 품질인증을 받았다. 회사 측에 따르면 품질인증을 받은 고객사들의 공장실사(Audit)가 코로나19로 제약을 받아 해외수출이 다소 지연되고 있으나 공장실사가 재개되면 본격적인 매출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BTL첨단소재 관계자는 “최첨단 기술로 제조되는 파우치 필름은 해외진출에 있어서 품질평가를 위해 고객사 엔지니어와 지속적인 테스트 및 기술미팅이 중요하다”며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프로그램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KIAT가 지원해 해외 진출 활로가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팔란티어 꿈꾸는 AI 유망주…주가 '불기둥'
- [단독] 비씨카드, 사명에 KT 붙인다…B2B 위기감 반영?
- 환율 변동성에도 '밸류업' 지속…금융지주 자사주 줄매입
- "옷깃만 스쳐도 관련주?"…대선판 달아오르자 정치테마주 '들썩'
- 코스피 2480선서 보합권 출발…코스닥도 소폭 하락
- 비에이치아이, 지난해 사상 최대 수주 실적…지속성 높여나갈 것-iM
- "최악은 지났다" 관세리스크 공포 극복 중인 코스피
- 카드론으로 돈 버는 카드사들…수수료 인하 명암
- 좌초된 금융정책들 골든타임 놓치나…부동산PF·지분형모기지 어디로?
- 한주간 MMF 설정액 7.6조 늘었다…최근 한달 증가치보다 많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원주시, 강원특별자치도에 제21대 대선 공약 정책과제 제안
- 2원강수 원주시장, 시민이 체감하는 경제 성장 .... 핵심 목표
- 3전북자치도교육청, 고교생 대상 ‘학점 인정 학교 밖 주말 강좌’ 운영
- 4전북자치도교육청, 2025년 반부패 청렴정책 추진…“청렴문화 정착 총력”
- 5전북개발공사, ‘스마트 퇴근 알림톡’ 시행…복무 관리 효율화
- 6완주군, ESG 경제대상 사회분야 전국 1위
- 7완주군, 중소기업 위해 301억 원 융자지원
- 8무주군, 행안부 청년마을 조성사업 선정…‘산타지 마을’로 6억 확보
- 9전춘성 진안군수, 통합복지카드 직접 점검…“현장 불편 즉시 개선”
- 10"진안 모델 전국으로"…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계절근로 현장 점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