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상한제 주택 2~3년 의무거주
경제·산업
입력 2021-02-16 23:13:30
수정 2021-02-16 23:13:30
지혜진 기자
0개
분양가 80%미만 3년·100%미만 2년
공공택지 민간 건설도 의무거주 3~5년
당장 이번주부터 수도권 민간택지 중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는 단지에는 2년에서 3년까지 거주의무기간이 생깁니다. 오늘(16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주택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습니다. 대통령 재가를 거쳐 오는 19일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거주의무기간은 분양가격에 따라 달라집니다. 분양가격이 주변 주택매매 가격의 80% 미만이면 3년, 80%이상~100%미만이면 2년의 의무 기간이 부여됩니다.
현재는 공공택지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기관이 짓는 아파트에만 의무거주기간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공공택지에서 민간이 짓는다 할지라도 분양가가 인근 시세의 80% 미만이면 5년, 80% 이상~100% 미만이면 3년간 의무적으로 살아야 합니다. /heyji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배스킨라빈스, 배달전용 가격제 도입…최대 12.5%↑
- ‘수평’ 내세운 카카오…직원 예식장 동원 논란
- [부고] 장영보(미디어윌 그룹 대표이사)씨 모친상
- 현대차, 러시아 재진출?…2년만 상표 재등록 ‘주목’
- “내년 1000명 일 못할 수도”…LG화학, 분리막 사업 철수?
- DL이앤씨, 980억 안전투자에도…진해신항 사망사고
- CJ그룹, 실적 부진 속 리더십 개편…‘재도약’ 시험대
- SK하이닉스, ‘AI 반도체’ 판 키운다…“600兆 투입”
- 태광그룹 4개 계열사, 민관합동 지진 대피 훈련 실시
- 리베이션, '서울디자인어워드' 본상…지속가능 디자인 경쟁력 입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