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美 국채금리…“증시 상승 추세 여전”
美 채권금리 상승세 가속화… 10년물 1.4% 코앞
긴축발작 경계감 확산…증시 고평가 논란 속 부담
“경기 회복 국면…상승 추세 방향성 변화 없다”
코스피,0.3% 하락 마감…3,070선으로 후퇴

[앵커]
연초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던 코스피가 지지부진한 흐름을 이어갑니다. 오늘도 0.31% 하락하며 3,070선에 장을 마쳤는데요. 미국의 국채 금리가 상승하며 증시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금리 상승 이슈가 증시의 일시적 조정을 야기할 순 있지만, 상승 추세를 꺾을 만한 걸림돌은 아니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코스피 지수가 0.31% 하락한 3,070선에 장을 마쳤습니다.
기관(+3,004억원)과 개인(+788억원) 동반 매수에도 외국인의 (-3,743억원) 매도 공세에 상승과 하락을 오가며 큰 변동성을 보인 하루였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1.85% 급락한 936선에 마감했습니다.
최근 증권가에서는 증시 하락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미국 채권 금리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간밤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1.36%까지 고점을 높이며, 3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이 같은 금리 상승에 긴축발작 경계감이 확산되고 있는 겁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금리 상승 이슈가 단기간 조정의 빌미가 될 순 있지만, 본격적인 하락을 부추기는 요인은 아니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경기 회복세에 기인한 만큼, 큰 틀에서 주식시장의 상승 추세는 지속될 것이란 전망입니다.
[인터뷰] 문남중/대신증권 연구원
“지금 국면은 백신이 보급되고 블루웨이브가 완성됐기 때문에 경기회복 기대가 금리 상승을 이끈다고 보시면 돼요. 현 시점에서 증시 상승의 발목을 잡을 요인은 아니라고 봐요. 2013년도 5월에 테이퍼링이 처음으로 언급됐던 시기의 평균 금리가 1.92%였어요.시장에서 물가가 올라가기 때문에 지레 염두하고 있는 것 같은데, 절대적인 금리 수준을 놓고 본다면 연준이 테이퍼링에 나설만한 금리 수준은 아니예요”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hyk@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에스티큐브 “대장암 1b상 결과 전원 종양 감소”
- [부고] 서민우(플루토스 부장) 씨 조모상
- 메드팩토 “백토서팁, 골육종 임상서 완전관해(CR) 달성”
- 한투증권, 소비자보호 TF 신설…”설계부터 판매까지 전 과정 혁신”
- 메리츠증권, 글로벌 핀테크 ‘위불’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한국콜마, 3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목표가↓-SK
- KB금융그룹, 5년간 110조원 규모 생산적·포용금융 추진
- 신한금융그룹, 생산적·포용금융 5년간 110조원 투입한다
- 카카오뱅크, MSCI ESG 평가서 최고 등급 AAA 획득
- 콘텐츠 업체가 농수축산업을? 한계기업의 무더기 신사업 예고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담양군, '제7회 대한민국 솔라리그' 최우수상
- 2“AI로 현실문제 해결”…쿠팡, 글로벌 해커톤 ‘핵서울 2025’ 성료
- 3하슬라아트월드, ‘강릉 겨울 가볼만한곳’ 주목
- 4하츠, 욕실 전문 브랜드 '하츠바스' 전국 50개 대리점 돌파
- 5"남원시민 5천 명이 뭉쳤다" 남원시민체육 화합한마당 성료
- 6고피자, CJ제일제당 ‘프론티어랩스 5기’ 합류…협력 본격화
- 7네이버지도, 예약 탭 도입…식당·레저·여행예약 지원
- 8S-OIL, 장항습지 보호 위해 1억원 후원
- 9스무살 성년 '부산불꽃축제' 15일 화려한 불꽃 터뜨린다
- 10생태 명소-세계유산 잇는 '순천 978m 하이킹' 운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