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 대신 집에서…‘집밥 시장’ 커진다

[서울경제TV=문다애 기자]
[앵커]
코로나에 집콕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외식 대신 집에서 식사를 해결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그동안 안해보던 요리를 해보는 것도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요.
늘어나는 요리 초보자들을 위해 요리를 쉽게해주는 새로운 제품까지 등장하고 있습니다. 문다애기자입니다.
[기자]
고춧가루에 시판 소스를 붓자 김치 양념이 되고, 마른멸치에 소스를 넣고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2분 만에 멸치볶음이 됩니다.
요리를 못하는 사람도 복잡한 레시피를 건너뛰고, 쉽게 반찬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신개념 소스 제품입니다.
[브릿지]
“절이지 않고 양념을 무치는 것만으로도 완성되는 김치 등 이러한 솔루션 제품들이 나온 이유는 코로나로 집밥은 하고 싶지만 요리 실력이 부족한 사람들을 겨냥한 겁니다.”
지난해부터 코로나 사태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며 집밥 시장이 커지고 있는 상황.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가정간편식(HMR) 시장 규모는 2019년 3조5,000억원에서 내년(2022년)에는 5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75년 전통의 국내 대표 장류 식품업체인 샘표는 간편식 중심으로 성장하는 집밥시장에서, 직접 요리를 해먹는 ‘집밥’ 소비자들을 공략하기 위한 새 브랜드를 론칭했습니다.
[인터뷰] 이윤아 샘표식품 홍보팀
“배달이라든지 밀키트 등도 많이 이용하시지만, 집에서 직접 요리를 하고 싶어하는 사람도 많이 늘어난 거 같아요. 집에서 요리를 할 때 좀 더 쉽고 편리하고, 맛있게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집밥 수요가 크게 증가하자 식품업계는 반찬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9년 반찬 전문 브랜드 ‘비비고 찬’을 내놓은 CJ제일제당과 지난 2016년 반찬 판매몰 ‘더반찬&’을 인수해 운영중인 동원은 최근 수산물로 반찬 영역을 넓혔습니다.
[인터뷰] 식품업계 관계자
“한식 반찬이라고 하는 시장이 한 2조원대로 추산이 돼요. HMR트렌드가 확대하고 있고 집에서 밥을 먹는 수요가 많아지다 보니까 HMR 반찬 시장도 성장세가 예상이 되는데…”
커지는 집밥 시장에서 가정간편식과 신개념 반찬 양념 등 각종 신무기를 내세운 식품업계.
밥상 위의 승자는 누가 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서울경제TV 문다애입니다./dalove@sedaily.com
[영상취재 이창훈/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위클리 비즈] 무더위에 갈라진 입맛…'강렬'하거나 '건강'하거나
- K방산, 역대급 실적에…“배당이냐 R&D 투자냐”
- 배민 ‘비트로지’·쿠팡 ‘쇼핑’…퀵커머스 경쟁 본격화
- 노란봉투법 통과 전인데…하청노조 타깃 된 대기업
- “SDV·AI가 핵심”…정의선 한 마디에 ‘현대오토에버’ 주목
- ‘삼성 VS 대우’ 5년만 리턴매치…개포우성7차 D-1
- 이재용, 빌 게이츠 회동…글로벌 사회공헌 협력 방안 논의
- 한국수력원자력, IBK기업은행과 ʻK-원전 희망드림론ʼ 업무협약
- 경총,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에..."투자 확대·일자리 창출 노력할 것"
- SK 최태원, 빌 게이츠 만나…소형모듈원전·백신 사업 협력 강화키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무더위에 갈라진 입맛…'강렬'하거나 '건강'하거나
- 2미래에셋생명, 호실적 힘입어 주주환원 강화 나선다
- 3의무 보유 확대에…'스팩 우회상장' 택하는 中企
- 4K방산, 역대급 실적에…“배당이냐 R&D 투자냐”
- 5BNK금융, '해양금융' 강화…"지역 산업 기반 새 기회"
- 6배민 ‘비트로지’·쿠팡 ‘쇼핑’…퀵커머스 경쟁 본격화
- 7노란봉투법 통과 전인데…하청노조 타깃 된 대기업
- 8“SDV·AI가 핵심”…정의선 한 마디에 ‘현대오토에버’ 주목
- 9‘삼성 VS 대우’ 5년만 리턴매치…개포우성7차 D-1
- 10이재용, 빌 게이츠 회동…글로벌 사회공헌 협력 방안 논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