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미국 대표지수 추종 TIGER ETF 2종 순자산 1.5조원 돌파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6일 미국 대표지수를 추종하는 TIGER ETF 2종의 순자산 합이 1조5,000억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는 순자산 1조원을, ‘TIGER 미국S&P500 ETF’는 순자산 5,000억원을 각각 넘어섰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5일 종가 기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순자산은 1조 936억원이다. 해당 ETF는 올해 5,120억원 증가하며, 국내 상장된 해외 대표지수형 상품 최초로 순자산 1조원을 돌파했다.
해외주식형 ETF 중에는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 ETF’ 이후 두번째다. TIGER 미국S&P500 ETF는 순자산이 5,587억원으로 올해 4,434억원 증가하며, 상장 1년여만에 국내 상장 S&P500 지수 추종 ETF 중 최초로 5,000억원을 넘어섰다.
두 ETF는 각각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ETF들 중 최대 규모다. 현재 한국거래소에는 나스닥100, S&P500 지수 추종 ETF가 각각 5종목씩 상장돼 거래되고 있다. 규모뿐만 아니라 거래량 또한 타사 대비 우위를 점하고 있다. 8월 기준 일평균 거래대금이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는 약 180억원, TIGER 미국S&P500 ETF는 약 70억원에 이른다.
TIGER 미국나스닥100 ETF와 TIGER 미국S&P500 ETF는 각각 미국에 상장된 ‘Invesco QQQ ETF(QQQ ETF)’와 ‘SPDR S&P500 ETF(SPY ETF)’와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며, 환오픈형 상품으로 성과도 유사하다. 하지만 국내에 상장된 TIGER ETF는 환전이 필요 없고, 장중 실시간 거래가 가능해 인기가 높다.
보수와 비용이 저렴한 장점도 있다. TIGER ETF 총보수는 연간 0.07%로 QQQ ETF 0.20%와 SPY ETF 0.09%보다 낮다. 환전비용, 거래수수료, 매도세 등 거래에 따른 비용도 TIGER ETF가 투자자에게 유리하다.
권오성 미래에셋자산운용 ETF마케팅부문 상무는 “미국은 글로벌 증시를 이끌며, 4차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TIGER ETF로 미국을 대표하는 지수에 손쉽게 투자 가능하다”며 “미래에셋은 경쟁력 있는 상품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투자자에게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미국 대표지수 TIGER ETF는 장기투자 관점에서 연금상품으로 활용해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다. ETF는 거래세가 면제되며, 연금계좌에서 거래할 경우 매매차익 및 분배금에 대한 과세는 연금수령 시 연금소득세로 저율 분리과세 된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하나은행, 오프라인 마이데이터ㆍ오픈뱅킹 서비스 시행
- 우리아메리카은행, 美 텍사스 오스틴지점 개점
- SC제일은행, 압구정 프라이빗 뱅킹 센터 개설
- 민병덕 민주당 의원 "김병주 MBK 회장, 무책임 넘어 국민 조롱"
- 이수그룹-류현진재단, 전국 초·중·고 야구부에 훈련용품 지원
- 한국피아이엠 "휴머노이드 로봇 손 소재 상용화 논의"
- 그린플러스, 29억 원 규모 청년 스마트팜 수주
- IBK기업은행, 한국계 은행 최초 폴란드법인 영업인가 취득
- 빗썸, 신세계사이먼 프리미엄 아울렛 '릴레이 팝업 부스' 성료
- 핀테크AI 협의회 초대 회장에 이혜민 핀다 공동대표 선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천시, '2025첨단방산드론 페스티벌' 개최
- 2인천교육청, 장애학생 예술인재 무대로 시민과 만나다
- 3인천 강화군, 섬 어르신 여객선 운임 부담 해소
- 4경상원, 전통시장·골목상권 매니저 역량강화 교육 마무리
- 5인천시의회 신충식 의원 “체육회 재정 불안, 시민 건강권 위협”
- 6나우비긴 스마트 경로당 "소통 프로그램으로 고령층 고립 완화"
- 7하나은행, 오프라인 마이데이터ㆍ오픈뱅킹 서비스 시행
- 8우리아메리카은행, 美 텍사스 오스틴지점 개점
- 9SC제일은행, 압구정 프라이빗 뱅킹 센터 개설
- 10민병덕 민주당 의원 "김병주 MBK 회장, 무책임 넘어 국민 조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