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뉴욕증시 국채 금리․디폴트 우려에 급락…투심 위축 불가피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뉴욕 증시가 국채 금리 상승세에 급락 마감했다. 특히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완화적 통화정책이 종료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진 것인데, 국내 증시 역시 투자 심리 위축이 불가피해 보인다.
28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69.38포인트(1.63%) 하락한 3만4,299.99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90.48포인트(2.04%) 내린 4,352.63를 기록했고, 나스닥 역시 423.29포인트(2.83%) 급락한 1만4,546.68에 마감했다.
시장은 이날(현지시간 28일) 10년 만기 국채 금리 움직임과 부채한도 협상 등에 주목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이날 상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서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가능성을 인정한 점이 위험자산에 부담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존과 다른 발언에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장중 한 때 1.558%까지 치솟았고, 이는 ‘빅테크’ 기업들에 대한 투매로 이어졌다.
또한 미 정부 예산과 부채 한도 협상이 난항을 보이고 있다는 점도 증시에 부담이 됐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이날 의회 지도부에 서한을 보내며 부채 한도 조정에 실패하면 다음 달 18일 디폴트(채무불이행) 사태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애플(-2.38%0, 아마존(-2.64%), 페이스북(-3.66%), AMD(-6.14%) 등 주요 기술주가 급락했다.
증권업계는 미국 증시가 국채 금리 상승과 부채한도 협상의 불확실성 등에 급락한 부분이 국내 증시에 대한 투자 심리 위축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다만, 해당 이슈에 대해 이미 선반영 된 부분이 있는 만큼 하락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 증시가 전일에 이어 국채 금리 상승에 따라 매물이 출회되며 낙폭을 확대한 점은 부담될 수 있다”며 “특히 반도체 장비 관련 종목군에 대한 투자의견 하향 조정 등으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급락한 것은 투자심리 위축 요인”이라고 전했다.
이어 서 연구원은 “미국 부채 한도 협상 실패에 대한 불안감 등이 위험자산 선호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전일 파월 연준의장의 높은 인플레 지속 언급 등은 이미 국내 증시에 영향을 줬다는 점과 부채한도 협상 불확실성 등은 시간을 두고 봐야 할 것”이라며 “국내 증시는 1% 내외 하락 후 제한적 등락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 [尹파면] F4 "시장 필요시 안정조치"…금융지주사 긴급회의 개최
- [尹파면] 관세 이슈에 증시 발목...원화는 강세 회복
- 5대 금융지주 尹 탄핵 인용·美 상호관세 따른 시장 변동성 긴급점검
- 금융당국 "尹 파면·美 상호관세 영향 시장상황 면밀하게 모니터링"
- 이복현 금감원장 "금융시장 충격 대비 전직원 비상대응체계"
- 尹 탄핵 '인용' 후 원·달러 환율 1430원대로 하락
- 펠드아포테케, '2025 타이베이 뷰티 박람회' 참가
- NH농협은행 205억원 금융사고…대출상담사가 과다대출
- 안도걸 "지난해 대주주 3272명, 1인당 양도차익 29억 신고"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험로·수심 800mm도 거뜬”…기아 첫 픽업 ‘타스만’ 타보니
- 2순창 쌍치면 산불 2시간 만에 진화…최영일 군수, 현장 긴급 출동
- 3저작권 논란에도…챗GPT가 불러온 ‘지브리 놀이’
- 4벼랑 끝 홈플러스…기업회생·검찰 수사 속 ‘대책 실종’
- 5“키움서 주식 안한다”…키움증권 연이틀 먹통에 ‘부글부글’
- 6한숨 돌린 줄 알았는데…트럼프 “의약품도 관세 검토 중”
- 7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 8대선 국면 돌입…짙어진 부동산 시장 관망세
- 9탄핵에 반색하는 플랫폼...카카오 숨통 트이나
- 10F4 "시장 필요시 안정조치"…금융지주사 긴급회의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