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플러스] 은행 점포 축소, 소비자·직원 불만 수면위로

[앵커]
최근 은행 점포 통·폐합에 대한 소비자들과 직원들의 불만이 수면위로 떠오르는 모양새입니다. 지난 몇년간 디지털 전환을 이유로 속도감 있게 점포 통폐합을 진행해온 은행들도 여론이 표출되자 주춤하는 모습인데요. 금융부 윤다혜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앵커]
윤 기자, 은행권 점포 통·폐합은 계속 돼왔는데요. 최근 주민들과의 갈등으로 점포 폐쇄가 무산된 은행이 있다고요.
[기자]
네, 신한은행은 노원구 월계동 지점을 내년 2월 폐쇄하고 이를 ‘디지털 라운지’로 전환할 계획이었습니다.
디지털 라운지는 비대면 화상 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데스크’가 설치되고, 장비 사용법을 안내하는 직원 1~2명이 배치되는 데요.
결국 무인 점포 개념으로, 대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창구가 없어지게 되는 겁니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지역 주민들은 ‘고령층의 금융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다’며 집회를 벌이는 등 지점 폐쇄를 반대했습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시민단체와 연대해 금감원에 진정서를 제출하고, 기자회견까지 하는 등 거세게 반발하자 결국 은행이 계획을 바꾼 건데요.
점포는 그대로 두고 창구 직원 2명과 컨시어지 1명을 두게 됐습니다. 점포 운영형태는 어떻게 할지는 내년에 정해질 예정입니다.
고령층 등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심하자 은행 측이 결국 한발 물러선 것인데요.
지난 몇년간 은행 점포 통·폐합은 흔한 일이 됐는데요.
점포가 폐쇄되면서 금융 취약계층의 소외 등 우려 사항을 지적하는 목소리는 있었지만, 소비자들이 행동에 나선 뚜렷한 사건은 없었는데요.
이번에 주민 반발 등으로 점포 폐쇄가 무산된 건 선례가 남게 됐습니다.
점포 폐쇄는 모든 시중은행에서 일어나고 있어, 앞으로 다른 은행들의 지점 폐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KB국민은행 노조도 최근 점포 통·폐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는데, 무슨 내용입니까?
[기자]
네. 이재근 차기 KB국민은행장 후보가 KB국민은행 노동조합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히고 있는데요. 이유가 이 후보자가 그간 점포폐쇄에 앞장섰다는 겁니다.
노조 측은 이 후보자가 점포폐쇄를 서두르는 등 금융 공공성을 훼손하고 있다며 새 후보 추천을 요구하는 상황입니다.
노조는 이틀 전 국민은행 신관 앞에서 집회를 열고 이재근 행장 후보자의 선임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노조는 “국민은행의 연평균 폐쇄 점포 수가 10개 남짓이었던 것을 감안할 때 이재근 부행장의 취임 후 그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며 “이 후보자가 부행장으로 취임한 지난해 한 해에만 무려 83개 점포가 문을 닫았고, 올해 62개 점포가 추가 폐쇄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노조는 “무분별한 점포 폐쇄가 이어지면 금융 소외계층이 늘고 직원들의 고용에도 심각한 위기가 찾아올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앵커]
은행들이 올해에도 점포 폐쇄를 대거 진행한 것으로 보이는 데요. 현재 상황은 어떤가요.
[기자]
은행의 점포 폐쇄는 그동안 디지털 전환과 효율화의 이유로 대거 이뤄져 왔습니다. 코로나19 이후엔 더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정의당 배진교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0월 말까지 신한·국민·우리·하나·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이 폐쇄한 점포, 출장소 포함해 179곳입니다.
5대 은행이 연말까지 폐쇄를 계획한 지점도 72곳이나 됩니다.
은행들이 이같이 점포 통·폐합을 하는 이유는 디지털 시대에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또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금융 활성화와 빅테크의 성장이 점포 감축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앵커]
은행들은 비용을 줄이거나 수익을 높여야 해서 점포 축소가 불가피하고 주민들은 금융 접근성에 문제가 생기고 이런 상황인데요. 대책은 없는 건가요.
[기자]
지역 곳곳에서 점포 통·폐합은 계속 이뤄지고 있지만 뾰족한 해법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점포 통·폐합으로 인한 갈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면서 이제는 다른 지역에서도 은행과 주민 갈등이 빈번해질 수 있는데요.
이에 주민 등은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보장할 대안 마련해달라고 금융당국에 목소리를 높이는 상황입니다.
금융당국도 폐점으로 인한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 악화에 대해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논의만 되고 그 사이 지점은 빠르게 사라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러 은행이 한 공간을 활용하는 ‘공동점포’ 운영이나 출장소 개념을 늘리는 방안도 나오고 있습니다. 전문가 얘기 들어보겠습니다.
[인터뷰]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공동 은행을 만드는 방식일 수 있어요. (그 위치에 있는 은행을)정리하면서 공동으로 운영하는 방식, 두번 째는 다운 사이즈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서 점포 큰 점포를 출장소 정도로 굉장히 작게 만드는 거죠. 그 두 가지 방식 정도가 아마 가장 현실적 대안일거고요. 점포 축소를 막는다고 해서사기업인 기업의 이익을 막을 수 없는 거 거든요.”
[앵커]
네. 사라지는 점포 통·폐합보다 빨리 해법이 나와, 은행도 주민들도 갈등 겪지 않게 금융당국의 대안이 시급할 때 입니다. 감사합니다.
/yunda@sedaily.com
[영상편집 김현지]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부고] 최익환(롯데손해보험 커뮤니케이션팀 책임)씨 모친상
- 보험연 "車보험 손해율 급등…실손초과 보험금청구 억제해야"
- 대한상의 "국민 55% 미장 선호...기업 혁신성 때문"
- "회장 임기 채워라" "배당 과도"...이복현이 부른 금감원장 영역 논란
- 월가 몰려간 서학개미 잡아라…증권가, 해외 주식 세미나 잇따라
- 현대해상, 작년 순익 1조307억원 '역대 최대'…전년比 33.4%↑
- 한화손보, 작년 순이익 3823억…전년 대비 31.5%↑
- [부고]최철규(저축은행중앙회 경영지원부장)씨 부친상
-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2조원대 '최대 규모' 해킹…"北 소행"
- 2금융 가계빚 7조원 폭증…풍선효과 '경고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최익환(롯데손해보험 커뮤니케이션팀 책임)씨 모친상
- 2부산시, 제106회 전국동계체전서 역대 최다 메달 성과
- 3EU, 러시아 동결자산 403조원 압류 검토
- 4트럼프 관세로 EU 수출 42조 타격 추정
- 5삼성물산, 송파 대림가락아파트 재건축 수주
- 6중기부, 백년소상공인 신규 선정…"글로벌 성장 지원"
- 7LH, 올해 공공주택 10만가구 승인…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 8보험연 "車보험 손해율 급등…실손초과 보험금청구 억제해야"
- 9국토부 "수도권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 0.2%p 추가 인상"
- 10쿠팡, 우수 PB 중소협력사 시상식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