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농가소득 4.3%↑…올해는 축산물가 하락에 감소 전망

[서울경제TV=정훈규기자] 지난해 농업 생산액과 농가 소득이 전년보다 각각 7.8%, 4.3%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올해는 축산물 가격 하락으로 농업생산액과 농가소득이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19일부터 이틀간 온라인으로 열리는 ‘농업전망 2022’ 행사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지난해 농업 생산액은 2020년보다 7.8% 증가한 54조42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중 재배업 생산액은 채소와 과일 가격 상승으로 2.7% 증가했고, 축산업과 양잠업을 합한 ‘축잠업’ 생산액은 한육우, 돼지, 계란값 상승으로 15.3% 늘어났다.
농가 소득은 2020년보다 4.3% 증가한 4,697만원으로 파악됐다. 공익직불과 수급조절 등 정책효과와 농축산물의 전반적인 가격 상승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KREI는 올해 농업 생산액은 작년보다 3.2% 줄어든 52조2,930억원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 중 재배업 생산액은 0.6% 줄어든 30조3,760억원으로 관측됐다. 과실은 올해 생산성 회복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생산액이 3.7% 감소하고, 채소는 작년 생산액 증가의 기저 효과로 인해 올해 2.1% 줄어들 전망이다. 축잠업 생산액 역시 도축량·생산량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의 여파로 작년보다 6.6% 감소한 21조9,170억원일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농가소득도 작년보다 0.6% 감소한 4,671만원일 것으로 관측됐다. 농가소득 중 농업소득은 축산물 가격 하락에 따른 농업총수입 감소와 농업경영비 증가로 6.9% 줄어들 전망이다. 농외소득은 농업임금 상승과 자본수입 확대로 3.4% 늘어나지만 이전소득은 코로나19 관련 정부 재난지원금 축소 등으로 0.3%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LG전자, 통합 채용 사이트 오픈…"글로벌 우수인재 영입"
- LS일렉, 북미 사업 가속 페달…신재생에너지·전력산업 전시회 참가
- LS전선, MV 내화 케이블 상용화…"첨단 인프라 안전성 강화"
- SKT·日 타임트리 '맞손'…"한일 AI 에이전트 시장 선도"
- 삼성전자 2025년형 OLED TV,'리얼 블랙' 글로벌 인증 획득
- [9·7 부동산대책] 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 [9·7 부동산대책] 2030년까지 수도권 135만호 착공…“LH 직접 개발로 속도 낸다”
- 농식품부, 계란값 우려에 산란계 '사육 면적 확대' 최대 2년 늦춰
- 쿠팡 "입점 소상공인, 중소기업으로 성장한 업체 1만개 넘어"
- LG, '에이머스 해커톤' 대회 개최…상위 3개팀에 입사 시 혜택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LG전자, 통합 채용 사이트 오픈…"글로벌 우수인재 영입"
- 2LS일렉, 북미 사업 가속 페달…신재생에너지·전력산업 전시회 참가
- 3LS전선, MV 내화 케이블 상용화…"첨단 인프라 안전성 강화"
- 418년 만에 부활하는 금감위…정책·감독 업무 4곳으로 분리
- 5SKT·日 타임트리 '맞손'…"한일 AI 에이전트 시장 선도"
- 6삼성전자 2025년형 OLED TV,'리얼 블랙' 글로벌 인증 획득
- 7김원경 라온테크 대표 "中 교두보로 글로벌 판로 확대"
- 85년 앞으로 다가온 오사카 카지노, 강원랜드의 생존 전략은?
- 9포항시, 동방경제포럼서 영일만항 북극항로 대응 전략 모색
- 10포항시, 경북 무형유산대전서 우수 전통문화 가치 전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