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개기 멈춰”…개미 외침에 기업들 안절부절
소액주주 울리는 물적분할 제동…CJ ENM ‘백기’
금융당국·정치권 ‘쪼개기 상장’ 압박 수위 높여
쪼개기 상장 피해, 고스란히 소액주주 몫
SK·카카오·CJ ‘쪼개기 상장’ 재검토…눈치보기
기업들 "당분간 상장 계획 없어"…주주들 달래기

[앵커]
물적분할한 뒤 상장하는 이른바 '쪼개기 상장'을 둘러싼 개인들의 공분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들끓는 여론에 금융당국과 정치권까지 공세에 나서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소액주주 울리는 기업들의 물적분할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콘텐츠 자회사의 물적분할을 계획했던 CJ ENM도 백기를 들었습니다.
금융당국과 정치권까지, 규제 칼날을 빼들자 한발 물러 선 겁니다.
물적분할은 한 회사를 쪼개 모회사와 자회사로 나누는 방식으로, 모회사가 자회사를 100% 소유하는 구조입니다.
통상, 알짜 사업 부분만을 따로 떼 상장시켜 이른바 ‘쪼개기 상장’으로 불립니다.
이 경우, 기존 투자자들은 신규 상장 주식을 받지 못하고, 기업가치 하락도 떠안아야 합니다.
모회사인 지배주주 입장에선, 지배력은 그대로 유지되 손해 볼 것이 없습니다.
결국,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 주주의 몫입니다.
이에,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물적분할 규제 의지를 천명했습니다.
정 원장은 “물적분할 후 상장의 첫째 이슈는 소액투자자 보호”라며“금융위원회와 제도 개선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선 주자들도 앞다퉈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며, 관련 공약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처럼 금융당국에 정치권까지 압박 수위를 높이자, 기업들은 눈치보기에 나섰습니다.
카카오 모빌리티와 SSG닷컴, CJ ENM 등이 ‘쪼개기 상장’ 재검토에 들어갔습니다.
이외에 KT, NHN 등이 급변하는 시장 환경을 주시하고 있습니다./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영상편집 홍승재/영상취재 허재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주담대 승부수' 토스뱅크…정부 규제가 최대 변수
- 천정부지 코스피에…증권사, 실적·주가 '양날개'
- “고파이 해결하라”…국감 도마 오른 바이낸스
- 케이지에이, 평택 신공장 준공…내달 말 입주 예정
- 인포스탁, '맞춤형 ETF투자정보서비스' 선봬…ETF 80개 테마로 분류
- 이찬진 금감원장 "'삼성생명 일탈회계' 논란, 국제기준 맞춰야"
- 엔바이오니아, '메타아라미드페이퍼 제조기술' 대한 국가핵심전략기술 획득
- IBK기업은행,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서비스' 제휴사 확대
- 신한은행, 21일 '오락실 적금' 사전예약 접수 시작
- KB국민카드, 국내 여전사 최초 '지속가능연계 신디케이트 론 조달' 성공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팔다리 힘 빠지고 시야가 흐릿하다면? 다발성경화증 의심
- 2“매출 축소에도 수익 개선”…건설사 3분기 실적 ‘활짝’
- 3‘코리아패싱’ 논란 SK바이오팜 뇌전증약… “11월 초 허가”
- 4지마켓, ‘셀러·고객·AI’ 7000억 투자…재도약 드라이브
- 5'주담대 승부수' 토스뱅크…정부 규제가 최대 변수
- 6삼성, 中企·지역과 함께 성장해 온 스마트공장 10주년 맞아
- 7LG엔솔·스텔란티스 加 합작공장, ‘안전 위반’ 논란
- 8천정부지 코스피에…증권사, 실적·주가 '양날개'
- 9“고파이 해결하라”…국감 도마 오른 바이낸스
- 10앱클론, CAR-T 치료제 ‘네스페셀’ 호주 특허 등록…글로벌 7개국 지적재산권 확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