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발 ‘오일쇼크’…항공·해운업계 비상

[서울경제TV=문다애 기자]
[앵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여파로 국제유가가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매출 원가에서 연료비 비중이 큰 항공과 해운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문다애 기자입니다.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국제유가가 연일 치솟고 있습니다.
어제(7일) 서부텍사스산원유(WTI)와 브렌트유는 장중 한때 각각 130.50달러, 137달러까지 치솟는 등 2008년 7월 이후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항공과 해운업계는 비상입니다. 매출원가에서 연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입니다.
대한항공은 작년 영업비용 중 24.7%를 연료비로 사용했고, HMM의 작년 3분기 매출원가 중 연료비 비중은 15.5%에 달했습니다.
대한항공의 경우 유가가 배럴당 1달러 오르면 약 3,000만 달러의 손실이 발생하는 구조.
유가 상승으로 당장 유류할증료부터 오르며 소비자와 수출기업의 부담이 커집니다.
다음달 국내선 여객 유류할증료는 이번 달보다 1,100원 오른 9,900원으로, 작년 보다 4.5배 뜁니다.
대한항공의 국제선 항공화물 유류할증료도 오는 16일 전달 보다 36.8% 오른 ㎏당 780원(장거리 기준)으로 인상됩니다.
해운업계 상황도 마찬가지.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지난 4일 4,746.98로 작년 보다 74%나 올랐지만, 유가 급등 폭이 커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일단 항공업계는 항공유 헤지에 나섰고, 해운업계는 선박의 운항속도 조절, 급유지 변경 등 유가 급등에 따른 충격을 줄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다만, 사태가 장기화하면 실적 하락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여기에 미국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가 현실화하면 국제유가가 배럴당 2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 마저 나오며, 업계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문다애입니다./dalov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HBM 다음은 HBF’…SK하이닉스, 차세대 AI 낸드 공개
- 현대건설, 美 원전 진출 ‘신호탄’…대형 원전건설 참여
- ‘마스가’ 속도…HD현대, 美 차세대 군수지원함 건조
- 2차전지 훈풍에…포스코퓨처엠 3분기 ‘깜짝 실적’
- APEC서 ‘IT·유통’ 진면목…첨단 기술·서비스 총출동
- 이재용 회장 취임 3년…‘뉴삼성’ 재도약 속도
- 코스온, '유한코스메틱'으로 사명 변경..."과학적 연구 역량 화장품에 접"
- 텔타 공식 론칭…조직 의사결정 전 과정 데이터 연결
- 코엔커머스, 스킨천사로 중동 시장 공략 박차
- 카디비 이번엔 선크림·클렌징까지…“믹순 없인 루틴 불안할 정도”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하남, K-팝으로 물든 사흘…도심 곳곳 생중계
- 2공공의대 설립 논의 본격화…국회 복지위원들 남원 찾았다
- 3대경대 K-푸드전공 45명, 국제요리경연대회 출전. . .라이브 단체전·파스타 라이브전 대상 동시 수상
- 4수성구 고산2동, 고산의 과거·현재·미래 탐방하는 ‘2025년 제4회 고산사랑 마을투어’ 진행
- 5김위상 의원 “5년간 18억 쓰고 취업률 11% 노동부 채용박람회, 올해 추경으로 20억 더 편성했다”
- 6대구지방환경청, 강정고령 지점 조류경보 해제
- 7경산교육지원청 경산Wee센터, 찾아가는 1:1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자문 실시
- 8대구가톨릭대병원, 일본 성마리아병원 병원장 및 관계자 방문
- 9경북도교육청정보센터, 2025년 독도의 날 기념 '찾아가는 독도사랑주간' 성황리 운영
- 10iM뱅크, "첫 로그인하고 ‘이디야커피 나폴리맛피아’ 콜라보 신메뉴 3종 받으세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