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포항제철소 “연휴기간 3만명 복구 총력…12일 4고로 정상 가동”

[서울경제TV=장민선기자]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복구 작업이 추석 연휴 기간에도 계속된 가운데 이르면 오는 13일 모든 고로가 정상 가동될 전망이다.
추석 연휴 기간동안 포항제철소 임직원은 물론, 광양제철소 및 그룹사 임직원, 협력사, 관계기관 등 하루 평균 8,000여명, 연휴기간 누적 3만여명이 포항제철소에 결집해 복구작업에 총력을 다했다. 200여명의 서울 포스코센터 임직원들과 하루 300여명의 광양제철소 직영 정비 및 협력사 직원들도 팔을 걷고 나섰다.
경북도 등 지자체, 소방청, 도로공사, 조선사, 해병대 등에서도 대용량 방사포, 소방펌프, 살수차, 양수기 등 중장비와 인력 지원을 통해 큰 힘을 보태주고 있다.
임직원, 협력사, 관계 기관의 역량 결집으로,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고로는 이르면 내일 중 모두 정상 가동될 예정이다. 지난 10일 포항3고로가 정상 가동된데 이어, 제강 설비 복구 일정과 연계해 오늘(12일)중 4고로, 이르면 내일중(13일) 2고로도 정상 가동에 돌입할 계획이다.
포항제철소는 오늘도 고로에서 생산된 쇳물을 제강공정에서 처리하기 위한 제강 및 연주설비 복구에 집중할 방침이다. 제강공장의 경우, 11일 2제강 4전로와 3제강 1전로가 재가동을 시작했고, 조속한 시일 내 모든 제강 설비를 정상화시킨다는 방침이다.
고객사 피해 최소화를 위해 광양제철소는 최대 생산체제로 전환하고, 고객사 긴급재 광양 전환생산 우선 대응, 보유중인 재고의 고객사 판매 등 고객사 신속 대응을 위한 비상출하대응반을 내일부터 가동할 예정이다.
냉천 범람의 가장 큰 피해를 본 압연라인의 경우, 대부분의 지하시설물이 침수되어 여전히 배수 및 진흙 제거 작업이 진행중이며, 지하시설물 복구가 마무리되어야 정확한 피해규모 추산 및 압연라인 복구/가동 계획이 수립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복구 과정에서 안전사고를 철저히 대비하고, 예상치 못한 문제들을 즉각 해결하기 위해 사내 전문 기술자, 포스코 퇴직자, 그룹사/협력사 전문가, 자문위원 등 기술지원팀과 안전전담팀이 현장에서 지원중이다. 특히, 전기 복구와 설비 시운전에 앞서 필요한 안전 조치가 누락되지 않도록 확인과 점검을 반복하고, 유사 위험에도 철저한 대비를 하는 등 안전 최우선 복구 작업을 진행중이다.
포스코는 “연휴 기간동안 보내주신 국민들의 위로와 응원에 깊이 감사드리며, 임직원이 하나로 뭉쳐 조속한 조업 정상화로 보답해 지역 및 국가경제에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jja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대원씨티에스, 넷인트와 공식 리셀러 계약 체결
- LG, 수해 복구 성금 20억원…계열사별 긴급 구호 지원
- SK그룹, 집중호우 피해 복구 위해 성금∙물품 23억 지원
- 이마트, '넷제로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5300톤 감축"
- 넷플릭스 다음 누구…OTT 2위 경쟁 ‘치열’
- 안전운임제, 3년 연장…경제계 "수출경쟁력 타격 불가피"
- 진격의 한화오션, 대만서 또 2兆 잭팟…美·加 공략 속도
- 롯데온, 사업재편으로 적자 탈출 노력…반등 노린다
- 1兆 규모 ESS 입찰 이번 주 윤곽…韓 배터리사 3파전
- “SK에코플랜트, IPO 앞두고 매출 부풀리기” VS “사실 아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원씨티에스, 넷인트와 공식 리셀러 계약 체결
- 2LG, 수해 복구 성금 20억원…계열사별 긴급 구호 지원
- 3SK그룹, 집중호우 피해 복구 위해 성금∙물품 23억 지원
- 4이마트, '넷제로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5300톤 감축"
- 5달성군,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작
- 6그늘진 곳에 햇살을, 김천 복지의 내일을 그리다
- 7주낙영 경주시장, 확대간부회의 주재…집중호우 피해·하반기 정책과제 점검
- 8본격 피서철 앞둔 포항시 해수욕장, 다양한 축제·문화 행사로 ‘활기’
- 9김천교육청, 2025 김천교육지원청부설 영재교육원 영재캠프 실시
- 10영천시, 집중호우 이후 농작물 관리 철저 당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