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내셔널, 우즈베키스탄에 ‘청소년 교육센터’ 준공

[서울경제TV=장민선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Fergana)주에서 청소년을 위한 교육센터를 건립하고 5일 준공식을 가졌다.
이날 준공식에는 보자로브 하이룰로(Bozarov Hayrullo) 우즈벡 페르가나주지사, 김희상 주우즈벡 대한민국 대사, 박상우 아주대학교 교수(하트하트재단), 포스코인터내셔널 우즈벡면방법인 조승현 법인장 등이 참석했다.
교육 인프라 구축사업은 지역사회와의 상생 차원에서 추진된 프로젝트로 우즈벡 청소년에게 외국어를 습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우즈벡 인구 3,000만명중 10대와 20대 비율은 30% 내외로, 상당수의 청소년들이 해외유학이나 해외취업을 희망하고 있는 실정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의료공헌, 기반시설 지원 같은 상생활동도 있지만 미래세대의 희망을 키워주는 사업도 의미가 크다고 판단, 이번 교육센터 건립 뿐만 아니라 우즈벡 청소년을 위한 장학사업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번에 준공된 교육센터는 총 3개 층으로 1층에 스터디 카페와 홍보관, 2층에 강의실과 자습실, 교무실이 위치해있으며, 3층에는 대강당과 휴게실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컴퓨터, 화상카메라 등 교육 장비도 구비해 최대 100명의 학생들이 동시에 학습할 수 있다.
청소년 교육센터의 시설과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지역사회 청소년은 무상으로 자유롭게 외국어를 공부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포스코인터내셔널은 YBM넷, 링글 등 국내 유수의 전문 외국어교육 업체들과 협업하여 맞춤형 외국어 교육 프로그램도 지원할 계획이다.
준공식에 참석한 보자로브 하이룰로(Bozarov Hayrullo) 페르가나주지사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준공한 페르가나 미래세대 교육센터를 통해 지역사회 청소년들이 외국어 능력을 키우고, 자아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고 기쁨을 나타냈다.
김희상 주우즈벡 한국 대사는 “경제적 이윤창출을 넘어 사회적 가치 창출에 앞장서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지원과 노력에 감사하다”고 전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992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지사 설립을 시작으로, 1996년 방직공장을 설립해 현재 우즈벡내 최대 면방 생산기업으로 성장해 왔다. 현재 약 4천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지난해 3,700만달러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올해 3월에는 우즈벡 원면 클러스터(Cotton Cluster)구축 업무협약(MOA)를 체결하여 기존 5,000헥타르의 원면 재배면적에서 2025년까지 3만5,000헥타르(여의도 면적의 120배)로 재배면적을 확대하기로 하는 등 지속적 협력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다. / jja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AI 데이터센터 시장, 5년간 연평균 28%씩 성장한다"
- '구글 지도반출' 한미 정상회담 후 결론…한 번 더 유보할 듯
- GV70, 글로벌 누적판매 30만대 돌파…제네시스 SUV 중 처음
- SK온, '미래기술원' 출범…차세대 기술 확보 본격 시동
- 폭염에 '금값'된 농산물…수박·토마토·배추 줄줄이 인상
- 배터리 3사, 美ESS 생산 본격화…'현지화' 속도 올린다
- "최장 열흘 쉰다"…추석 연휴 대목에 증편나선 항공사
- “과일이 다 했다!”…식품업계, 여름철 무더위에 과일 디저트 출시 행렬
- 지식재산권 침해 물품 10만 건 넘어…85%는 해외직구
- 아시아나, 31년 만에 화물사업 종료…에어제타로 새 시작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철우 경북도지사 "허위 기반 수사 강력 반박...공무원 적극행정 흔들림 없어야"
- 2"AI 데이터센터 시장, 5년간 연평균 28%씩 성장한다"
- 3'구글 지도반출' 한미 정상회담 후 결론…한 번 더 유보할 듯
- 4GV70, 글로벌 누적판매 30만대 돌파…제네시스 SUV 중 처음
- 5SK온, '미래기술원' 출범…차세대 기술 확보 본격 시동
- 6외국인, 지난달 코스피 6조 '쇼핑'…1년 5개월 만에 최대
- 7폭염에 '금값'된 농산물…수박·토마토·배추 줄줄이 인상
- 8소득세·상속세 중장기 과제로 밀리나…부동산세는 다음 순번?
- 9보험도 '생산적 금융' 확대…첨단산업 투자 때 자본규제 완화
- 10배터리 3사, 美ESS 생산 본격화…'현지화' 속도 올린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