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어붙은 회사채시장 기업들 결국 ‘대출’로 자금 유통

[서울경제TV=최재영기자] 회사채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결국 ‘대출’시장으로 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2022년 10월 중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 10월 은행 기업대출은 한달간 13조7,000억원이 급증했다. 이는 2009년 6월 통계 속보치 작성 이후 10월 증가 규모로는 최대치다.
한은 관계자는 “지나날 기업 운전자금 수요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회사채 시장 위축 영향으로 대기업의 은행 대출 활용 증가로 높은 수준의 증가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월별 회사채 발행규모를 보면 올해 8월 3,000억원 순발행에서 9월에는 6,000억원 감소했다. 10월 들어서는 감소액이 3조2,000억원에 달한다.
이에 따라 1~10월까지 누적 순발행은 5조4,000억원 감소로 전환됐다. 1년 전 1~10월 누적(14조7,000억원)과 비교하면 올 하반기 회사채 시장의 심각성을 더한다.
기업별로는 대기업이 회사채 발행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대출로 돌아섰다. 먼저 중소기업 대출은 9월 4조7,000억원에서 10월에는 4조4,000억원으로 소폭 줄었다. 10월 기준으로 2020년 8조2,000억원, 지난해 8조원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중소기업 대출은 운전자금 수요와 부가가치세 납부 등의 자금으로 한은은 풀이했다.
반대로 대기업 대출은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였다. 9월 4조7,000억원에서 10월에는 9조3,000억원의 두배 가량 늘었다.
한은은 “대기업 대출은 회사채 시장 위축에 따른 대출 활용 지속으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회사채 시장 냉각 여파는 다른 곳으로 이어졌다. 자금구하기 힘든 기업들은 기업어음(CP)과 단기사채 등으로 옮겨 타는 중이다.
CP‧단기사채 순발행은 9월 4,000억원 순유출에서 10월 3조1,000억원으로 순발행으로 전환됐다. 순발행은 10월 기준으로 최근 3년간 처음이다.
1~10월까지 누적 발행기준으로도 3년간 최대 규모다. 2020년 4조1,000억원, 2021년 6조5,000억원, 올해는 18조7,000억원에 이른다. 이는 단기자금 흐름이 매우 나빠지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은행 한 관계자는 “레고랜드 사태 이후 회사채 시장이 순식간에 냉각됐고 금융당국이 시장안정화 대책을 쏟아내고는 있지만 자금 흐름을 쉽게 개선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며 “은행에 돈을 빌리는 기업은 당분간 늘어날 것 같다”고 말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화운용, 한화MAGA2.0 펀드 목표수익률 7% 조기 달성
- 한국피아이엠, 이스라엘 최대 총기 제조사 'IWI' 품질 테스트 통과
- 벤츠·현대차·르노코리아 등 21개 차종 2만4555대 리콜
- 페이퍼컴퍼니 뒤에 숨은 M&A…이니텍, '깜깜이 딜' 주의보
- "서울보증 사태 재발 막자"…정부, 징벌적 과징금 추진
- 韓증시 호평하던 글로벌IB, 세제안 발표에 '급유턴'
- 카카오뱅크, 역대 최대 실적…수익 다각화는 과제
- 기업銀, 영천시 화재피해 중소기업 1000억원 긴급 자금 지원
- 갤럭시아머니트리, 위버스에 '신용카드 결제서비스' 제공
- 벡트, 'AI 전자칠판' 조달청 우수제품 지정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현대백화점 판교점, 로블록스 팝업스토어 진행
- 2한경협 "상생소비 활성화 방안, 민생경제 회복 마중물 될 것"
- 3경총 "정부 '상생소비 활성화 방안', 경제 성장 제고"
- 4코웨이라이프솔루션, 실비아헬스와 치매 예방 서비스 제휴
- 5한국타이어, 소외계층 어린이 대상 ‘2025 희망 나눔 캠프’ 개최
- 6한화운용, 한화MAGA2.0 펀드 목표수익률 7% 조기 달성
- 7'날씬하고 건강하게'…목포시 드림스타트, 비만 아동 건강관리 교육 마무리
- 8진도군, 건강한 임신·행복한 육아 위한 특별한 동행
- 9남원시, 'KTX남원역세권 개발사업' 국토부 투자선도지구 공모 최종 선정
- 10고창군농업기술센터, 콩 생산농가 다수확 재배기술 교육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