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대출금리 내리는데…2금융권은 법정최고 ‘임박’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기준금리가 올랐음에도 은행들의 대출금리는 잠잠한 모습입니다. 반면 제2금융권 대출금리는 고공행진하며 법정 최고 수준까지 바라보고 있다고 하는데요. 왜 그런 것인지 김수빈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지난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은행권 대출 금리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2금융권 금리는 하늘 높이 치솟고 있습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신규코픽스는 1월 16일 기준 4.29%로 전달보다 0.05%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이는 11개월 만에 하락한 수치입니다.
특히 은행 대출 금리는 금융당국의 금리인하 압박이 상당한 만큼 한동안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는게 금융권의 시각입니다.
반대로 2금융권은 금리인상이 더 빨라진 모습입니다.
보험사를 통한 신용대출 평균 금리가 최고 13%에 육박했습니다. 손해보험사들의 지난해 11월 기준 무증빙형 일반신용대출 평균 금리 상단은 12.98%에 달했고, 생명보험사들도 10%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카드·캐피탈 금리도 대부업 수준에 달했습니다.
여신전문금융협회에 집계를 보면 지난해 11월 30일 기준 카드사의 신용대출 상품 평균 금리는 삼성카드가 17.56%로 가장 높았고, 신한카드는 16%대, KB국민카드와 우리카드는 15%대까지 치솟았습니다.
특히 캐피탈사의 경우, 신용대출 금리가 최고 19.54%에 달하는 등 법정 최고 금리(20%)에 육박하는 고금리를 물리고 있습니다.
이처럼 카드사와 캐피탈사들이 금리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비판에도 고금리를 유지하는 이유는 따로 있었습니다.
시장 금리가 오르면서 조달비용이 증가해 고금리 유지가 불가피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자금 조달에 필수적인 여신전문금융채권(여전채)의 금리가 지난해 초와 비교해 2~3배나 올랐습니다.
[싱크]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
"제2금융권 같은 경우에 시장에서 자금 조달의 여건이 상대적으로 시중은행들보다 좋지 않기 때문에 해당 자금 조달 코스트(비용) 올라가는 것에 대비해서 운용 금리를 높이는 데 기인한다고 보고요. (대출금리의) 하락 가능성은 높지 않아보이고요."
2금융권의 자금조달 상황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어 고금리 정책은 계속 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경제TV 김수빈입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케이지에이, 평택 신공장 준공…내달 말 입주 예정
- 인포스탁, '맞춤형 ETF투자정보서비스' 선봬…ETF 80개 테마로 분류
- 이찬진 금감원장 "'삼성생명 일탈회계' 논란, 국제기준 맞춰야"
- 엔바이오니아, '메타아라미드페이퍼 제조기술' 대한 국가핵심전략기술 획득
- IBK기업은행,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서비스' 제휴사 확대
- 신한은행, 21일 '오락실 적금' 사전예약 접수 시작
- KB국민카드, 국내 여전사 최초 '지속가능연계 신디케이트 론 조달' 성공
- 하나은행, '다이렉트 해외송금' 서비스 인도네시아로 확대 시행
- SK하이닉스, 닷새째 오르며 첫 50만원 돌파
- 유안타증권, VIP 초청 자선 프로암대회 성황리 개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제21회 서남권청소년축제, 목포를 뜨겁게 달구다
- 2케이지에이, 평택 신공장 준공…내달 말 입주 예정
- 3완도군, SNS 대상서 2년 연속 ‘최우수상’…소통 콘텐츠 우수성 인정
- 4인포스탁, '맞춤형 ETF투자정보서비스' 선봬…ETF 80개 테마로 분류
- 5CGV, 콘텐츠진흥원과 K애니메이션 활성화 MOU 체결
- 6이찬진 금감원장 "'삼성생명 일탈회계' 논란, 국제기준 맞춰야"
- 7롯데칠성, '재생 플라스틱 원료 100%' 칠성사이다 출시
- 8넥슨재단, 발달장애 청년 자립 지원하는 ‘푸르메 낭만 팝업 in 성수’ 진행
- 9육수당, 시그니처 메뉴 '서울식 얼큰 국밥' 업그레이드 출시
- 10엔바이오니아, '메타아라미드페이퍼 제조기술' 대한 국가핵심전략기술 획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