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엑스코선’ 노선명 ‘도시철도 4호선’으로 변경
도시철도 4호선, 경대교역·경대북문역 설치
철제차륜 AGT 연간 유지관리비용, 모노레일 절반 수준
5호선(더 큰 대구 순환선), 6호선(수성남부선) 2023년 6월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수립 용역 착수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대구시는 지난 2월 27일부터 3월 2일까지 엑스코선과 관련한 공청회와 주민설명회를 개최해 전문가 및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했다.
엑스코선은 2020년 12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사업으로 2021년 5월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착수해, 현재 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절차를 거치고 있다.
우선, 해당 노선의 명칭을 엑스코선에서 도시철도 4호선으로 바꿔 부르기로 한다.
또, 대구시는 안전과 유지관리 효율성을 고려하여 차량 형식을 철제차륜 AGT로 결정했다.
당초 3호선과 동일하게 모노레일로 계획했으나, 지난 7월 모노레일 공급사인 히타치사에서 국내 현행법 준수의 어려움과 수익성 부족 문제를 알려왔다.
히타치사에서 요구하는 차량형식 승인 면제와 관련한 문제는 일각에서 주장하듯이 국토부의 고시 개정만으로 단순히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국토부의 규정은 철도차량의 안전 강화를 목적으로 개정한 것으로 차량형식 승인을 면제하는 것은 이러한 법 개정 취지에 맞지 않다는 게 국토부의 입장이다.
따라서, 철제차륜 AGT 도입 시 모노레일보다 1131억 원 정도 비용이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엑스코 동관과 서관 사이를 통과하는 노선계획에 대해서는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했다.
이번에 신설되는 공고네거리역 외에도 주민들이 요구한 경대북문역과 경대교역 신설 문제는 면밀한 수요 파악 후, 역사 신규 설치 및 역간 거리 조정 등을 통해 해소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환승역, 엑스코역과 같이 이용자 수요가 많은 역은 정거장 규모를 확대해 시민안전과 편의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차량기지 위치는 현재 불로동 농경지로 계획되어 있으나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다른 대안이 있는지 추가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이상과 같이, 공청회와 주민설명회를 통해 다양한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였고, 반영 가능한 부분들은 적극 수용할 계획이다.
한편, 대구시는 4호선뿐만 아니라, 5호선과 6호선도 계획 중에 있다.
대구의 주요 거점인 서대구역, 두류공원, 군부대후적지, K-2후적지 등과 산격유통단지를 통과하는 도시철도 5호선(더 큰 대구 순환선)을 준비 중에 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기업 등 상장사 전반 ‘주주제안’ 확산…의결권 확보 ‘비상’
- 2'2025년 부산시 기능경기대회' 7~11일 열린다
- 3이투스247학원, ‘2026 프리반수반’ 모집…1:1 스마트 관리 제공
- 4부산도시공사, 전기 설계용역 분리발주…전기설비 전문성 UP
- 5아우디 코리아, 지역 공식 딜러사로 아이언오토·고진모터스 선정
- 6‘신축’ 홀릭 시대…구축 멀어지고 ‘뉴라이프’에 몰린다
- 7한샘, 식목일 기념 시흥시 ‘행복의숲’ 조성 참여
- 8알록·두산베어스 스폰서십 체결…홈 경기 ‘댄스 배틀’ 개최
- 9푸마, '청백적 프로모션' 진행…"수원삼성 팬들에 보답"
- 10포르쉐코리아, 경상도 산불 피해 복구에 2억2000만 원 기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