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코감기와 착각하기 쉬운 환절기 불청객 알레르기 비염

낮과 밤의 커다란 일교차, 건조한 날씨, 황사 및 미세먼지 등 환절기가 되면 알레르기 질환 증세가 악화돼 고통 받는 환자들이 급증한다.
알레르기 질환은 체내에 침투해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항원(Allergen으로 인해 면역 반응이 급격히 활성화돼 발병하는 것이 특징이다.
항원항체반응이 올바르게 이뤄질 경우 별다른 이상 증세가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반려동물의 털 등 특정 항원에 과민하게 반응하는 사례가 존재한다. 이때 재채기, 콧물, 코막힘, 기침, 가려움증 등의 이상 증세가 두드러지는데 이를 알레르기라고 부른다.
알레르기 비염은 항원이 코 내부에 침입해 발병하는 급성 비염 질환을 뜻한다. 항원이 코 점막에 노출될 경우 자극 받은 부위를 중심으로 면역글로불린 E(IgE) 항체를 매개하는 염증세포가 몰린다. 이로 인해 염증 반응이 두드러지는데 이러한 증상이 알레르기 비염 발병의 주요 기전이다.
주의할 점은 알레르기 비염을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단순 감기로 치부하여 방치하는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알레르기 비염 치료 타이밍을 놓치면 만성 비염, 기타 호흡기 질환 등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중이염, 축농증 등의 합병증까지 초래할 수 있어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알레르기비염의 진단 방법은 혈액을 채취해 특정 항원에 반응하는 IgE의 혈청 내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다중 알레르기 항원 검사(MAST)와 유니캡(UniCAP) 등을 꼽을 수 있다.
다중 알레르기 항원 검사는 한 번에 여러 항원 관련 특이 IgE를 동시 파악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유니캡 검사는 보다 정확한 결과를 알고 싶을 때 진행한다
알레르기비염이 진단되면 환자 개인 별 건강 상태에 따라 항히스타민제, 비강 내 스테로이드제 등 약물요법을 시행한다. 또한 특정 항원에 대한 회피 요법도 꾸준히 전개해야 한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 윤소희 신통내과 원장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택시요금 올라도 연말 서울 택시 이용 22%↑
- 오세훈 서울시장, ‘주말 도심 집회 안전대책회의’ 열어 대응계획 점검
- 경남도, 도내 지하차도 52곳 안전점검 실시
- 고용부 창원지청, 산불 사망 사고 관련해 중처법 위반 여부 본격 조사
- 용인시, 체납자 압류 동산 자체 공매시스템 구축 계획
- 변덕스러운 날씨에 유채꽃축제 2년 연속 불발
- 조기 대선으로 학교 학사일정도 변경 불가피
- 문화해설 로봇 ‘큐아이’, 만화박물관서 ‘K-콘텐츠’ 알린다
- 한국음악저작권협회, ‘AI 사용 안 썼다’ 보증 절차 도입
- 지리산 산불, 국립공원 외곽 200m 남아…"오늘 주불 진화 최선"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완도군, 영남지역에 산불 피해 구호물품 전달
- 2국토부, 공공주택사업자 대상 특화 공공임대주택 공모
- 3택시요금 올라도 연말 서울 택시 이용 22%↑
- 4LG 에이머스 해커톤 개최…“AI 개발로 난임 치료 돕는다”
- 5쿠팡, PB 납품 중소협력사 630곳 늘어…고용인원 2만7000명
- 6한화비전, 북미 최대 보안 전시회 'ISC 웨스트' 참가
- 7삼성전자, '공급망 인권 관리' 부문 글로벌 ICT 기업 1위 차지
- 8韓조선 R&D 투자 최근 6년 연속 확대
- 9고환율 지속에 건설용 중간재 수입물가↑…공사비 상승 가능성
- 10동남아 덮친 트럼프발 상호관세에 전자 부품업계 초긴장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