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퓨얼셀, 코오롱글로벌과 바이오가스 활용한 수소연료전지 사업모델 개발

[서울경제TV=성낙윤기자] 두산퓨얼셀은 코오롱글로벌과 ‘중장기 사업 및 협력분야 확대를 위한 기본합의서’에 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정형락 두산퓨얼셀 대표이사, 김정일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사업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두산퓨얼셀은 수소연료전지 공급, 장기유지보수(LTSA) 등을 담당하고, 코오롱글로벌은 연료 공급, EPC, 배관시설 확보 등을 수행한다. 또한 양사는 사업에 필요한 제반 인허가, 기술 교류 등에도 협업하기로 했다.
이번 사업모델은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에서 불순물을 제거한 후 이를 천연가스(NG)와 혼용하여 수소연료전지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고효율 에너지 사업이다. 여기서 생산된 전기는 분산전원으로, 열은 인근지역 냉난방과 온수로 활용된다. 또한 수소, 전기, 열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트라이젠을 설치해 궁극적으로 수소차 충전까지 가능하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코오롱글로벌이 하수처리장 사업권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상대적으로 사업화가 용이하며, 지역사회에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를 친환경에너지로 사용함으로써 지자체, 기업, 지역주민들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사업모델이기 때문에 더 큰 의미가 있다.
양사는 올해 중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CHPS 입찰에 뛰어들 예정이다.
CHPS는 기존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에서 수소발전부문을 별도로 분리해 수소발전 특성에 부합하는 지원체계를 수립하고, 수소발전에서 청정수소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 상반기에 개설되는 일반수소 발전시장은 추출 수소, 부생 수소 등이 허용되며, 청정수소 발전시장은 청정수소 인증제 및 관련 법령이 마련된 후 2024년부터 개설될 계획이다.
정형락 두산퓨얼셀 대표이사는 “친환경에너지 사업개발과 인프라에 특화된 코오롱글로벌과 수소연료전지 대표기업 두산퓨얼셀간의 사업시너지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주요 기업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해 CHPS 시장을 선점하고 중장기 수주물량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nyseo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SK오션플랜트, 준법경영 고도화로 기업지속가능성 높인다
- 소진공, SEMAS AI 캠퍼스 성과 경연대회 개최
- 차바이오텍,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시동…제2판교에 바이오 클러스터 만든다
- 소진공,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지원사업 신청 개시
- 중기중앙회, DL건설 협력사 대상 납품대금 연동제 설명회 개최
- 한국타이어 후원, 포뮬러 E 시즌 11 ‘2025 한국 베를린 E-PRIX’ 성료
- 밈즈, 라운드서 스킨케어 기획전 진행
- 제주항공, '액티브시니어' 선호 여행지 분석…다양한 지역 선택
- 한전, 에너지 신기술 사업화 대전 개최
- 중앙대 행정대학원, 2025학년도 후반기 석사과정 신입생 추가2차 모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