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드 오프’ 고심 커진 이창용…정책 변화줄까

[앵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년간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두고 숨가쁘게 통화정책을 펼쳐왔는데요. 그런데 실리콘밸리은행 사태 이후 금융안정과 물가를 동시에 챙겨야 하는 상황이 길어지면서 ‘트레이드 오프’ 상황을 맞이했다는 시각이 나옵니다. 이 총재도 이런 고심을 드러냈는데요 김미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창용 총재는 어제(24일) 은행장들과 만난 자리에서 "최근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이 상충되는 상황에서 통화정책을 어떻게 운용해야 하는지가 국제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다"며 "지난주 국제회의에서 이와 관련한 심도있는 논의가 있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 총재 역시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이란 상반된 두 목표를 두고 고민이 깊다는 걸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글로벌 시장은 아직 물가를 잡기 위해 긴축기조 흐름이 뚜렷합니다.
미 연방준비제도는 다음달 회의에서 0.25%포인트 금리를 올릴 전망이 우세하고, 유럽 ECB 슈나벨 이사는 고물가를 잡기 위해 다음 통화정책회의에서 0.50% 포인트 인상도 가능하다고도 말했습니다.
우리 물가도 안심하기엔 이른 상황입니다. 물가의 큰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상승률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데다,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생산자물가도 최근 석달째 연속 올랐습니다.
게다가 현재 억누르고 있는 공공요금 인상도 시작되면 물가는 또 들썩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고려하면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하지만, 그럴 경우 최근 변동성이 커진 금융시장이 더 불안해질 수 있다는 게 한은의 딜레마입니다. 즉 두 정책 목표 중 다른 목표달성이 늦어지거나 희생되는 '트레이드 오프' 상황에 직면한 셈입니다.
더 큰 문제는 최근 장기 시장금리가 단기 기준금리를 밑도는 추세가 이어지면서 통화긴축의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
이 총재도 어제 통화긴축 효과를 묻는 지적에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선을 그었지만, 이런 상황이 장기화되면 물가를 안정시키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싱크] 이민환 / 인하대 글로벌금융학과 교수
"(기준금리보다) 은행에서 적용하는 장기 금리가 더 낮다는 것은 어느 정도 시장이 왜곡돼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는 거죠."
올해 물가와 금융안정 변수가 더 복잡해질 것으로 보여 이창용 총재의 고심도 계속 깊어질 전망입니다. 서울경제TV 김미현입니다. / kmh23@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12일만에 멈춰선 코스피…FOMC 앞두고 '숨고르기'
- 금융위, 제4인뱅 컨소시엄 4곳 모두 예비인가 '불허'
- 금융권 "생산적 금융 위해 위험 기준 낮춰야"
- 롯데카드, 해킹 피해 눈덩이…곧 대국민 사과
- [부고] 박우주(IBK투자증권 부장)씨 외조모상
- 하나증권, 퇴직연금 IRP 계좌개설 특별 이벤트 진행
- SC제일은행, 기업금융 강화…자금관리·무역금융 환경 논의
-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원 발행
- KODEX K방산TOP10레버리지, 상장 당일 전체 ETF 중 최고수익률 기록
- 금융위, 제4인뱅 예비인가 심사 결과 발표…4개 컨소 모두 '탈락'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포항시, K-바이오의 미래를 말하다…‘바이오헬스에서 찾는 포항 미래발전포럼’ 개최
- 2포항시의회, 제325회 임시회 1일 차 ‘시정질문’ 실시
- 3천년고찰 직지사, 국보와 수장고로 문화유산 지킨다
- 4김천시,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실시
- 5경주시, 반려동물 테마파크로 미래형 문화 인프라 구축
- 6영천시, 제22회 영천보현산별빛축제 세부추진계획 보고회 개최
- 7김천교육지원청, 안전한 등굣길 위한 범죄 예방 캠페인 전개
- 8포항교육지원청, 2025학년도 2학기 교(원)장·교(원)감 회의 개최
- 9영천시, 경북 무형유산 ‘영천 목조각’ 홍보전 개최
- 10포항시, 2025 청년친화헌정대상 종합대상 수상…청년정책 성과 인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