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치솟는 여전채…카드사 “조달 다변화해야”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카드사들의 자금 조달 창구인 여신전문금융채의 금리가 나날이 치솟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카드론 금리 등도 내릴 수 있는 여력이 없어지는 건데요. 해외 차입 등을 단계적으로 허용해 조달 구조를 다변화해야한다는 업계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수빈 기잡니다.
[기자]
여신전문금융회사채 금리가 7개월 만에 또다시 연 4.5%선에 진입했습니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여전채(AA+/3년물) 금리는 연 4.51%를 기록했습니다.
올해 여전채 금리는 연 3% 후반까지 하락하며 안정세를 이어가다, 새마을금고 사태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상승 전환해 지난 6월 4%대로 올라섰습니다.
통상 카드사들은 필요한 자금을 3~4개월 전에 여전채로 조달하는데, 여전채 금리가 오르면 취급 금융상품 대출 금리도 함께 오르는 구조입니다.
현재 카드사들이 이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비중은 70%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물론 다른 조달 방안도 있습니다. 매출채권 등 자산을 기초로 한 자산유동화증권(ABS)이 꼽힙니다. 하지만 시장에서 수요가 크지 않아 원하는 자금 조달이 쉽지 않습니다.
[싱크]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
"자금 조달에 대한 카드채(여전채) 의존 비중이 높기 때문에 그걸 좀 낮추려고 노력은 하는데요. 당분간은 이제 국내에서 자산유동화 채권을 발행하는 게 더 현실적일 거 같고, 그래야 카드채보다 발행 금리는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
결국 조달금리가 높아지면서 대출도 줄고 카드사 실적 악화로 이어집니다.
이렇게 되면 건전성에도 영향을 줘 이른바 ‘혜자카드’는 없애고 고객 혜택을 더 줄이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카드사들의 항변입니다.
카드사들은 정부가 이젠 해외에서 차입할 수 있는 길을 열어야 숨통이 트일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입니다.
해외차입 열쇠를 쥔 곳은 기획재정부로 외화채권을 발행하려면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원·달러 환율이 거센 상승 압박을 받는 상황에서 외환건전성 관리에 우선을 둔 당국이 나선다는 것은 기대조차 힘듭니다.
업계에서는 전체 회사 자금 조달 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완화하는 등 외화 조달 수준을 과거에 비해 조금씩 늘려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수빈입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조좌진 사임 각오에도…MBK 관리 책임 정치권으로
- 한은 10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집값 변수 여전
- DB자동차보험손해사정, 자배원에 사고 피해가정 지원 기부금 전달
- 네오펙트, 실버스토리와 MOU 체결…“시니어 케어 시장 공략”
- 카카오인베스트먼트-4대 과기원, '지역 AI 육성 프로젝트' 협력
- 신한은행, 'SOL트래블 체크카드' 250만좌 돌파 기념 이벤트 진행
-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생산적·포용금융 확고히 실천할 것"
- 신한투자증권, 해외 레버리지 ETF 사전교육 이벤트 실시
- 키움운용, ‘KIWOOM 미국고배당&AI테크 ETF’ 23일 신규 상장
- 신한자산운용, 달러단기자금펀드(USD) 수탁고 1조원 돌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스타벅스 '이 라떼' 가을 시즌 재출시…해외로 역수출도
- 2지방간염 약물치료 시대…디앤디파마텍·동아ST 도전장
- 3조좌진 사임 각오에도…MBK 관리 책임 정치권으로
- 4한은 10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집값 변수 여전
- 5K-조선, LNG선 수주 가뭄 끝나나…대형 발주 가시화
- 6남원시 산내면 국민체육센터 개관…지리산권 생활체육 새 거점
- 7엔비디아, 인텔 구원투수 등판…삼성 ‘예의주시’
- 8현대차, 5년간 77.3조원 투자⋯글로벌 555만대 판매
- 9면세업 줄이는 호텔신라 "인천공항 철수"...수익 개선 기대
- 10“통역·길안내 척척”…스마트글라스 경쟁 점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