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해 사태에 치솟는 해상운임…“해운 호황기 온다”

[앵커]
지난해 10월 발발한 홍해 사태가 길어지며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가는 주요 해상 길목인 수에즈 운하 통행 불가도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해상운임도 크게 오르며 해운업계의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입니다.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홍해 사태 장기화가 해운업계 실적에 호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홍해 사태 이후 선박들은 주요 경로인 수에즈 운하 대신 남아프리카 희망봉을 거쳐 우회하고 있는데, 왕복 기준 3~4주 이상 시간이 더 소요돼 전체 운송 가능량이 줄었습니다.
여기에 더해 수요에 해당하는 화물 운송량도 늘었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의 영향으로 오는 8월부터 미국이 중국 제품에 고율 관세를 매기면서 관세 부과 전 화물 운송과 계절적 성수기 영향에 따라 화물 운송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공급 감소와 수요 증가에 힘입어 해상운임 상승세도 심화됐습니다. 실제로 해상운임 가격 추세를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4월 1,770포인트에서 지난 5일 3,733포인트까지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3개월간 약 2,110포인트가 오른 겁니다.
이에 해운업계의 실적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HMM의 2분기 영업익 컨센서스는 5,528억 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약 245% 증가할 전망입니다.
세계적인 해운사 머스크는 올해 영업 전망치를 대폭 수정했습니다. 당초 20억 달러 가까이 적자가 날 것으로 예상하다, 1억~30억 달러의 흑자가 날 것으로 전망을 바꿨습니다.
글로벌 해운업계는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올해 코로나19 때와 비슷한 수준의 호황기를 누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국제금값 온스당 4000달러 안착…은값 14년만에 최고치
- 정부 "장애 전산시스템 709개로 정정"…복구율 27.2%
- 추석 연휴 마지막날 귀경길 정체…부산→서울 6시간 40분
- 트럼프 "이스라엘-하마스, 가자 평화구상 1단계에 합의"
- 李 대통령 "이스라엘 나포 국민 석방에 외교역량 최대 투입"
- '빵플레이션' 베이글 3년새 44% 올랐다
- 北 김정은, 라오스 시술릿 주석과 회담…'친선협력 강화' 강조
- 비트코인, 상승세 멈추고 4000달러 급락…'과열 조정' 진입
- 한국 내년 4월부터 '세계국채지수' 편입…75조원 유입 기대
- 15억 초과 거래 다시 늘었다…비강남 한강벨트 '갭투자' 몰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의성군, 제8회 의성슈퍼푸드마늘축제 성황리 마무리
- 22025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열흘간 160만 명이 함께한 세계인의 축제로 마무리
- 3경북도, 특화작목 거베라 스마트팜 수경재배 기술개발 박차
- 4경북도, 동절기 재난형 가축전염병 차단용 방역약품 지원
- 5경북 안동도매시장, 시설현대화 통한 산지 유통 중심으로 자리매김
- 6경북농업기술원, ‘경북형 늘봄학교 농업·농촌 프로그램’ 시범운영
- 7경북도, 공중보건의사 감소 대응 종합대책 추진
- 8경북도, 미래 모빌리티 산업 중추로 발돋움
- 9대구시-9개 간호대학, 젊은 세대 심뇌혈관질환 예방 앞장선다
- 10대구시, 통합형 해바라기센터 2026년 개소 목표로 본격 추진
댓글
(0)